코러스리팜피신정450밀리그람(수출용)
기본정보
성상 | 주황색의 타원형 제피정제 |
---|---|
업체명 |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1995-10-20 |
품목기준코드 | 199504322 |
표준코드 | 8806472007408, 8806472007415, 8806472007422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리팜피신
총량 : 1정 약670.0밀리그램 중|성분명 : 리팜피신|분량 : 450.0|단위 : 밀리그램|규격 : KP|성분정보 : |비고 : (역가)
첨가제 : 황색5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탤크,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산화티탄, 황색203호,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히프로멜로오스2910, 결정셀룰로오스, 모노,디아세틸레이티드모노글리세라이드, 라우릴황산나트륨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황색5호
첨가제주의사항효능효과
○ 유효균종
결핵균, 수막염균
○ 적응증
결핵, 무증후성 수막염균 보균자
용법용량
1. 결핵
○ 성인 : 리팜피신으로서 1일 1회 450~600mg(역가)을 경구투여한다. 체중이 50Kg 이하일 경우에는 450mg, 50Kg 이상일 경우에는 600mg을 투여하는 것이 권장된다.
○ 소아 : 1일 1회 체중 Kg당 10~20mg(역가)을 경구투여한다. 1일 600mg(역가)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5세 이하의 용량은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신중히 투여한다.
원칙적으로 다른 항결핵제와 병용투여한다.
2. 무증후성 수막염균 보균자
○ 성인 : 리팜피신으로서 1회 600mg(역가)을 1일 2회 2일간 경구투여한다.
○ 유ㆍ소아(1~12세) : 1회 체중 Kg당 10mg(역가)을 1일 2회 2일간 경구투여한다.
○ 영아(3~12개월) : 1회 체중 Kg당 5 mg(역가)을 1일 2회 2일간 경구투여한다.
식사 전 1시간 또는 식후 2시간에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이 약을 투여하는 환자에서 호산구증가와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 반응(DRESS증후군), 스티븐스-존슨 증후군(SJS), 독성표피괴사융해증(TEN), 급성전신성발진성농포증(AGEP)과 같은 중증피부이상반응(SCAR)을 포함하는 전신성 과민반응이 발생할 수 있다. 과민반응의 증상 및 징후로는 발열, 발진, 두드러기, 혈관부종, 저혈압, 급성 기관지연축, 결막염, 혈소판감소증, 호중구감소증, 간 전이효소 상승 또는 독감유사증후군(flu-like syndrome)(쇠약, 피로, 근육통증, 오심, 구토, 두통, 오한, 통증, 가려움, 땀, 현기증, 숨가쁨, 가슴통증, 기침, 실신, 심계항진)이 포함된다.
이러한 반응은 중증일 수 있으며 DRESS증후군은 치명적일 수 있다.
발열, 림프절병증, 또는 실험실 검사 이상(호산구증가증, 간 이상)과 같은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발진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이 약을 투여한 환자의 과민반응 증상 및 징후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해당 징후 및 증상이 발생할 시,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하고 보조요법을 시행해야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담도 폐색증 환자
2) 중증의 간장애 환자, 황달환자
3) 이 약의 성분에 과민반응의 병력이 있는 환자
4) 인디나비르, 사퀴나비르, 넬피나비르, 암프레나비르를 투여중인 환자
5) 미숙아, 신생아
6) 프라지콴텔의 치료적 유효 혈중농도에 도달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프라지콴텔 투여 환자에게 이 약은 금지됨. 프라지콴텔로 즉각 치료가 필요한 이 약 투여 환자에 대해 대체 약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그러나 프라지콴텔 치료가 필요한 경우 이 약은 프라지콴텔 투여 4주 전에 중단되어야 한다. 그 후 이 약 치료는 프라지콴텔 치료 완료 1일 후에 개시될 수 있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헐 투여 또는 투여를 일시중지한 후 재투여하는 환자[알레르기(쇽 포함)가 나타나기 쉽다.]
2) 부신피질 부전 환자[부신(급성)발증을 일으킬 수 있다.]
3) 간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간장애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
4. 이상반응
1) 정신신경계 : 때때로 불면, 초조감 등의 정신증상, 전신권태감, 두통, 졸음, 피로, 운동실조, 집중력 감퇴, 정신착란, 경련, 드물게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소화기계 : 출혈성 미란성 위염, 때때로 식욕부진, 구역, 구토, 위통, 설사 등의 위장장애, 드물게 위막성대장염등의 혈변을 수반한 중증 대장염이 나타날 수 있다. 복통, 빈번한 설사가 나타날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치아 변색은 영구적일 수 있다.
3) 혈액계 : 때때로 혈소판 감소, 백혈구 감소, 과립구 감소, 출혈 경향, 드물게 용혈성 빈혈, 무과립구증 등의 혈액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때때로 호산구 증가,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장애(프로트롬빈 시간의 비정상적인 연장이나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인자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4) 피부 : 홍조, 가려움, 두드러기, 눈의 충혈, 드물게 독성표피괴사용해, 편평태선형 피진, 천포창양 피진, 삼출성 결막염, 자색반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5) 간장 : 드물게 중증의 간장애 때때로 황달, 일과성의 AST, ALT의 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간기능 검사를 하는 등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6) 신장 : 드물게 알레르기성으로 생각되는 신부전, 간질성 신염, 신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간헐투여 시 또는 투여를 일시중지한 후 투여할 경우에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또한 BUN, 요소치 상승, 때때로 단백뇨, 혈뇨, 혈색소뇨, 용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7) 과민반응 : 발열 등의 flu-like syndrome, 발진, 다형성 홍반[스티븐스-존슨증후군 포함], 급성전신성발진성농포증(AGEP), DRESS증후군(호산구증가와 전신증상을 동반한 약물 반응), 구내염, 혀통증, 드물게 쇽유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특히 간헐투여 시 또는 투여를 일시 중지하고 재투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기 쉬우므로 주의한다.
8) 기타 : 가슴쓰림, 호흡곤란, 천식성 발작, 기관지 폐쇄, 간질성폐렴, 시력장애, 골연화증, 근쇠약, 사지통, 월경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1) 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 상의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환자는 다음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리도록 해야 한다 : 발진, 열, 림프절부종, 식욕감퇴, 불안, 오심, 구토, 어두운 뇨, 피부와 눈의 황변, 기침, 숨가쁨, 천명, 관절의 통증이나 부종.
3) 이 약은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장애와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비타민 K 결핍의 위험성이 있는 환자(예: 만성간질환, 영양상태불량, 항생제나 항응고제 장기 사용)의 경우, 이 약을 투여하는 동안 응고 검사(프로트롬빈 시간과 다른 응고 검사)를 모니터링 해야 한다. 비정상적인 응고 검사 및/또는 출혈이 발생할 경우, 이 약의 투여를 중지하고 비타민 K 보충제 투여를 고려해야 한다.
국외 시판 후 보고에 의하면 고용량의 세파졸린과 리팜피신 병용 투여는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PT)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중증 비타민 K 의존성 응고 장애로 이어질 수 있고 이것은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출혈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세파졸린과 리팜피신을 병용투여하지 말아야 한다. 대체 치료법이 없을 경우, 프로트롬빈 시간과 다른 응고 검사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권고대로 비타민 K를 투여해야 한다.
6. 상호작용
1) 에탐부톨과 병용투여 시 에탐부톨의 시력장애를 증강시킬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2) 장기투여를 받고 있는 여성에서는 황체 난포호르몬 혼합제제의 월경주기 조정작용이 약화된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경구 피임제의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3) 이 약이 영향을 미치는 약물대사효소 및 전달체로는 Cytochromes P450(CYP) 1A2, 2B6, 2C8, 2C9, 3A4, UDP-글루쿠론산전이효소(UDP-glucuronosyl transferases, UGT), 황산전달효소(sulfotransferases), 카르복실에스테라제(carboxyesterases)와 P-당단백(P-glycoprotein, P-gp) 및 다제 내성-관련 단백질 2(multidrug resistance-associated protein 2, MRP2)을 포함한 전달체가 있다. 대부분의 약물은 이러한 효소 또는 전달체 경로 한 개 이상에 대한 기질이며 해당 경로는 이 약으로 동시에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약은 대사를 활성화하고, 병용 투여한 특정 약물의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많은 약물 및 약물 계열에서 임상적으로 중요한 약물상호작용을 지속시킬 가능성이 있다.
다음 약들과 병용투여 시 그 작용을 약화시킬 수 있다. : 쿠마린계 항응고제, 경구 당뇨병용제, 디기탈리스 제제, 키니딘, 코르티코이드제, 시클로스포린, 디아페닐설폰, 케토코나졸, 톨부타미드, 테오필린, 칼슘길항제(베라파밀, 니페디핀 등), 답손, 페니토인, β-차단제(알프레놀롤, 메토프놀롤, 프로프라놀롤 등), 염산멕실레틴, 말레인산에날라프릴, 클로람페니콜, 독시사이클린, 부나조신, 벤조디아제핀계약물(디아제팜, 미다졸람, 트리아졸람), 삼환계항우울제(노르트립틸린), 타목시펜, 토레미펜, 트로피세트론, 아졸계항진균제(플루코나졸 등), 카르바마제핀, 조피클론, 클로피브레이트, 에파비렌즈, 네비라핀, 지도부딘, 리토나비르, 테르비나핀, 타크로리무스, 졸피뎀, 몰핀, 바르비탈계약물
4) 이소니아지드 등 다른 항결핵제와 병용투여 시, 중증의 간장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간기능 검사를 한다.
5) 인디나비르, 사퀴나비르, 넬피나비르, 암프레나비르와 병용투여 시 간대사효소 유도작용에 의해 혈중농도가 저하되어 이러한 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6) 메타돈과 병용투여 시 약물의 혈장농도 감소 및 간대사 증가로 인해 약물금단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7) 프로베네시드, 코트리목사졸과 병용투여 시 이 약의 혈중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8) 제산제 병용투여는 이 약의 흡수를 줄일 수 있다. 이 약은 제산제가 투여되기 최소 1시간 전에 투여되어야 한다.
9) 아토바쿠온을 이 약과 병용하면 아토바쿠온 농도는 감소하고, 이 약의 농도는 증가하며 독성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약과 아토바쿠온의 병용 투여는 권고되지 않는다.
7.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동물실험에서 기형발생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모유로의 이행이 보고되어 있으므로 수유부에는 치료 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8. 과량투여시의 처치
1) 증상 : 피부, 타액, 누액, 땀, 안면, 치아의 등적화, 목마름, 구토, 복통, 간비대, 황달, ALT, AST 등의 상승, 급성 폐부종, 기안, 의식장애, 경련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더 심한 경우에는 호흡곤란, 빠른맥(빈맥), 하지경련, 심장마비가 나타날 수 있다.
2) 처치 : 위세척, 활성탄 투여, 강제이뇨, 혈액투석 등의 보조요법, 대증요법을 실시한다. 또한 중증 간손상시에는 담낭배액을 실시한다.
9. 임상검사치에 대한 영향
1) BSP 또는 ICG 배설의 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
2) 미생물학적 검사법에 의해 혈청 중 엽산치, 비타민 B12치의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10. 기타
1) 요, 변, 타액, 담, 땀, 누액, 치아가 이 약 및 그 대사산물에 의해 등적색으로 착색되고 혈청도 같은 모양으로 착색된다. 또한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변색될 수 있다.
2) 포르피린증 환자에 투여한 경우, 증상을 발현 또는 악화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단일/복합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 DUR유형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엘바스비르[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엘바스비르와 그라조프레비르의 혈장 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이 약의 바이러스학적 반응 감소 가능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팔보시클립[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팔보시클립의 혈장 농도 증가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다비가트란의 혈중농도 증가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아수나프레비르[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아수나프레비르에 대한 바이러스 반응의 소실을 유발 가능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다클라타스비르[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다클라타스비르에 대한 바이러스 반응의 소실을 유발 가능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소포스부비르[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소포스부비르 혈장 농도를 현저히 떨어트려 소포스부비르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레디파스비르[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레디파스비르 및 소포스부비르 혈장 농도를 현저히 떨어뜨려 이 약의 치료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엠트리시타빈[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릴피비린[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릴피비린의 혈중농도가 감소하여 치료효과 감소 혹은 내성발현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에트라비린[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에트라비린의 혈중농도가 감소하여 치료효과 감소 혹은 내성발현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리팜피신[이스라디핀]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isradipine의 혈장농도 저하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케토코나졸[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효소유도로 인한 ketoconazole의 혈중농도 저하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리팜피신[니솔디핀]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nisoldipine의 작용 약화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리팜피신[니페디핀]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nifedipine의 혈장농도 저하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리팜피신[보리코나졸]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혈중농도가 저하되어 보리코나졸의 약물효과 감소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인디나빌[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혈중농도 저하로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효과 감소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넬피나비어[리팜피신] | DUR유형 병용금기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혈중농도 저하로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효과 감소 |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기밀용기, 건냉암소 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
재심사대상 | |
RMP대상 | |
포장정보 | 자사포장단위 |
보험약가 |
순번 | 변경일자 | 변경항목 |
---|---|---|
순번1 | 변경일자2019-11-10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2 | 변경일자2018-03-14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3 | 변경일자2017-09-14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4 | 변경일자2010-03-16 | 변경항목제품명칭변경 |
순번5 | 변경일자2007-03-21 | 변경항목성상변경 |
순번6 | 변경일자2006-05-17 | 변경항목성상변경 |
순번7 | 변경일자2005-01-22 |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
순번8 | 변경일자2005-01-22 |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
순번9 | 변경일자2005-01-22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10 | 변경일자1998-08-25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순번11 | 변경일자1996-02-15 | 변경항목성상변경 |
순번12 | 변경일자1996-02-15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한국코러스(주)의 주요제품 목록(50건)
코러스세티리진정(세티리진염산염)(수출용)
일반의약품
2019.03.28
아픽코스정2.5밀리그램(아픽사반)
일반의약품
2019.03.28
아픽코스정5밀리그램(아픽사반)
일반의약품
2019.03.28
티그렐정60밀리그램(티카그렐러)
일반의약품
2019.03.28
티그렐정90밀리그램(티카그렐러)
일반의약품
2019.03.28
디아론캡슐(디아세레인)
일반의약품
2019.02.28
피노테정5밀리그램(피나스테리드)
일반의약품
2019.02.28
테노포드정(테노포비르디소프록실푸마르산염)
일반의약품
2019.02.18
암로바에스정5밀리그램(에스암로디핀베실산염이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09
암로바에스정2.5밀리그램(에스암로디핀베실산염이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08
엑세라민에이스정
일반의약품
2019.02.06
잘토정(잘토프로펜)
일반의약품
2019.01.28
알렌스타정(알렌드론산나트륨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1.28
에피러지정20밀리그램(에피나스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1.28
코러스히알루론산나트륨점안액
일반의약품
2019.01.31
렉사신점안액(레보플록사신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1.19
이바론주(이반드론산나트륨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1.18
펠리시움시럽(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11%에탄올추출물(1→8~10)·글리세린혼합액(8:2))
일반의약품
2019.01.18
토브라민점안액(토브라마이신)
일반의약품
2019.00.28
케이메톨점안액(플루오로메톨론)
일반의약품
2019.00.21
케이목시점안액(목시플록사신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0.21
크로린점안액(크로몰린나트륨)
일반의약품
2019.00.21
옥사신점안액(오플록사신)
일반의약품
2019.00.09
피록스겔(피록시캄)
일반의약품
2018.05.28
파워큐비타액티브정
일반의약품
2018.04.28
케이멘틴듀오시럽[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칼륨(7:1)]
일반의약품
2018.04.28
케이심바정20밀리그램(심바스타틴)
일반의약품
2018.04.28
뉴로엘민에프정
일반의약품
2018.03.28
투엑스비골드정
일반의약품
2018.03.28
이누신캡슐(은교산)
일반의약품
2018.03.31
레인스정
일반의약품
2018.03.13
뉴로엘민정
일반의약품
2018.02.28
메디솔정(메틸프레드니솔론)
일반의약품
2018.02.28
벤포비백정
일반의약품
2018.02.28
듀로세틴캡슐60밀리그램(둘록세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2.30
듀로세틴캡슐30밀리그램(둘록세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9
로틴캡슐20밀리그램(플루옥세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9
텔미온플러스정40/1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8.02.28
로틴캡슐10밀리그램(플루옥세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5
코발탄정160밀리그램(발사르탄)
일반의약품
2018.02.09
코발탄정80밀리그램(발사르탄)
일반의약품
2018.02.07
효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일반의약품
2018.01.28
효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일반의약품
2018.01.28
레보타신정100밀리그램(레보플록사신수화물)
일반의약품
2018.01.28
더블액티브정
일반의약품
2018.01.28
벤포100메가비정
일반의약품
2018.01.28
액티진정
일반의약품
2018.01.28
멕실렌캡슐(멕실레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1.26
코러스레보세티리진염산염정
일반의약품
2018.01.23
록트정150밀리그램(록시트로마이신)
일반의약품
2019.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