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트릴주(브롬화티메피디움)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마약류구분, 기타식별표시, 첨부문서 정보 제공
성상 무색등명한 액이 들어있는 무색 투명한 앰플제
업체명
위탁제조업체 아주약품공업(주)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1979-05-01
품목기준코드 197900067
표준코드 8806449042609, 8806449042616, 8806449042623, 8806449042630, 8806449042647, 8806449042654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브롬화티메피디움

총량 : 1밀리리터 중|성분명 : 브롬화티메피디움|분량 : 7.5|단위 : 밀리그램|규격 : JP|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인산이수소칼륨, 염화나트륨, 주사용수, 인산수소나트륨수화물

(주사제)

1. 다음 질환의 경련 및 운동장애에 수반되는 동통의 완화 : 위염, 위ㆍ십이지장궤양, 장염, 담낭ㆍ담도 질환, 요로결석

2. 췌장염에 기인하는 동통의 완화

3. 소화관 검사시의 전처치 : 내시경 검사, X-선검사

4. 비뇨기계 검사ㆍ처치시

(경구 : 캅셀제)

1. 다음 질환의 경련 및 운동장애에 수반되는 동통의 완화 : 위염, 위ㆍ십이지장궤양, 장염, 담당ㆍ담도질환, 요로결석

2. 췌장염에 기인하는 동통의 완화

(주사제)

성인 : 브롬화티메피디움으로서 1회 7.5㎎을 피하,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경구 : 캅셀제)

성인 : 브롬화티메피디움으로서 1회 30㎎ 1일 3회 경구투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주사제)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녹내장 환자

2) 전립선비대에 의한 배뇨장애 환자

3) 중증의 심질환 환자

4) 마비성 장폐색 환자

5)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전립선비대 환자

2) 울혈성 심부전 환자

3) 부정맥 환자

4) 궤양성 대장염 환자(중독성 거대결장이 나타날 수 있다.)

5)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6) 고온 환경에 있는 자

3. 부작용

1) 쇽 : 드물게 쇽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눈 : 때때로 눈부심, 시조절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정신신경계 : 때때로 두통, 어지러움, 드물게 두중감, 졸음, 마비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소화기계 : 구갈, 때때로 구역ㆍ구토, 드물게 변비, 식욕부진, 복부팽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순환기계 : 때때로 심계항진, 드물게 빈맥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7) 비뇨기계 : 때때로 배뇨곤란, 요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8) 주사부위 : 때때로 동통, 드물게 발적, 종창 등이 나타날 수 있다.

9) 기타 : 드물게 안면홍조, 무력감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시조절장애, 졸음,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약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상호작용

1) 삼환계 항우울약, 페노치아진계 약물, 항히스타민제 등 항콜린작용이 있는 약물과 병용투여하는 경우에는 주의한다.

2) MAO저해제와 병용시 항콜린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유부에의 투여는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적용상의 주의

정맥주사시에는 환자의 상태를 관찰하면서 천천히 주사한다.

9. 기타

이 약의 대사물에 의하여 적색을 띠는 착색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유로빌리노겐 등의 요검사에는 주의한다.

(경구 : 캅셀제)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녹내장 환자

2) 전립선비대에 의한 배뇨장애 환자

3) 중증의 심질환 환자

4) 마비성 장폐색 환자

5) 이 약에 과민증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전립선비대 환자

2) 울혈성 심부전 환자

3) 부정맥 환자

4) 궤양성 대장염 환자(중독성 거대결장이 나타날 수 있다.)

5)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6) 고온 환경에 있는 자

3. 부작용

다음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1) 눈 : 때때로 눈부심, 드물게 시조절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정신신경계 : 때때로 두통, 어지러움, 드물게 두중감, 졸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3) 소화기계 : 때때로 구갈, 변비, 드물게 식욕부진, 묽은변, 복부팽만감, 구역ㆍ구토, 복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4) 순환기계 : 때때로 심계항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과민증 : 때때로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비뇨기계 : 때때로 배뇨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7) 기타 : 드물게 안면홍조, 권태감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시조절장애, 졸음, 어지러움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약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이 수반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5. 상호작용

1) 삼환계 항우울약, 페노치아진계 약물, 항히스타민제 등 항콜린작용이 있는 약물과 병용투여하는 경우에는 주의한다.

2) MAO저해제와 병용시 항콜린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중의 투여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유부에의 투여는 피하고 부득이한 경우에는 수유를 중지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안전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기타

이 약의 대사물에 의하여 적색을 띠는 착색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유로빌리노겐 등의 요검사에는 주의한다.

의안 65615-7522(2002. 6. 25)

변경지시 대상품목 : 앰플주사제 전품목

변경지시내용

허가(신고)사항중 “사용상의 주의사항” 경고항을 추가.

“앰플주사제는 용기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잇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및 기간, RMP대상 및 기간, 포장 정보, 보험 코드, 보험 약가, 보험 적용일
저장방법 밀봉용기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24 개월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1mL/앰플 X 10
보험약가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02-07-24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2 변경일자1999-07-21 변경항목제품명칭변경
순번3 변경일자1999-07-14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4 변경일자1999-07-14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5 변경일자1999-07-14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6 변경일자1998-01-01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7 변경일자1998-01-01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8 변경일자1998-01-01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9 변경일자1991-01-19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10 변경일자1991-01-10 변경항목제품명칭변경
순번11 변경일자1991-01-10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12 변경일자1991-01-10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13 변경일자1986-11-01 변경항목저장방법 및 유효기간(사용기간)변경
순번14 변경일자1985-09-27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순번15 변경일자1979-05-01 변경항목제품명칭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