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히알원스주(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가교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기본정보
성상 | 무색 투명하고 점조성이 있는 겔이 위 아래가 고무마개로 막힌 유리관(프리필드시린지)속에 들어 있는 주사제 |
---|---|
업체명 | |
위탁제조업체 | (주)휴메딕스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2019-03-08 |
품목기준코드 | 201901451 |
표준코드 | 8806706081402, 8806706081419, 8806706081426, 8806706081433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가교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총량 : 1프리필드시린지 (3.0mL) 중|성분명 : 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가교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분량 : 3.0|단위 : 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히알루론산나트륨(으)로서 60 밀리그램|비고 :
첨가제 : 멸균주사침
효능효과
슬관절의 골관절염
용법용량
성인 : 1회, 1관을 슬관절강 내에 투여하나, 증상에 따라 투여 간격(6개월 이상)을 고려하여 적절히 투여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및 이 약의 구성성분에 대해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투여 관절강에 감염 또는 심한 염증이 있는 환자
3) 투여부위의 피부에 감염 또는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다른 약물에 대해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간장애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3. 이상반응
1) 중대한 이상반응
쇼크: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나타난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슬(무릎)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이히알플러스주를 대조군으로 한 이 약의 임상시험(HU-025 P3)에 등록된 303명의 시험대상자 중 276명의 시험대상자에게 이 약 또는 하이히알플러스주를 관절강 내 투여한 이후 국소부위 이상반응 발현빈도는 이 약 투여군 62.77%(86/137명), 하이히알플러스주 66.91%(93/139명) 이었으며, 보고된 국소부위 이상반응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이 약의 임상시험(HU-025 P3)에서 보고된 국소부위 이상반응
국소부위 이상반응 |
이 약 투여군(137명) n (%) |
하이히알플러스주 투여군(139명) n (%) |
통증 |
77 (56.20) |
81 (58.27) |
열감 |
49 (35.77) |
60 (43.17) |
부종 |
32 (23.36) |
29 (20.86) |
발적 |
30 (21.90) |
26 (18.71) |
중증 이상반응은 통증 (이 약 9.5%, 하이히알플러스주 10.0%), 부종 (이 약 8.8%, 하이히알플러스주 7.9%), 발적 (이 약 5.8%, 하이히알플러스주 2.9%) 순으로 보고되었다.
이 약 투여 후 국소부위 이상반응이 있었던 시험대상자에서 있어, 통증은 평균 7.84±8.87일(대조군 5.83±4.12일), 열감은 평균 3.86±3.04일(대조군 3.90±3.15일), 발적은 평균 3.40±2.94일(대조군 3.08±2.26일), 부종은 평균 9.19±18.08일(대조군 5.34±8.73일) 지속되었으며, 대부분 특별한 처치 없이 소실되었다.
무릎골관절염 환자 대상 이 약의 재 투여 임상시험(HU-025 P3)에서 관절강 투여에 따른 국소부위 이상반응 발현빈도는 이 약 1차 투여 후 62.77% (86/137명), 재 투여 후 36.78% (32/87명)이었다. 보고된 국소부 위 이상반응은 아래 표2와 같다. 중대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표 2. 이 약의 재투여 임상시험(HU-025 P3)에서 보고된 국소부위 이상반응
국소부위 이상반응 |
이 약 1차 투여군(137명) n (%) |
이 약 재투여 후(87명) n (%) |
통증 |
77 (56.20) |
32 (36.78) |
열감 |
49 (35.77) |
13 (14.94) |
부종 |
32 (23.36) |
10 (11.49) |
발적 |
30 (21.90) |
8 (9.20) |
중증 이상반응은 통증 (이 약 6.9%, 하이히알플러스주 4.7%), 부종 (이 약 6.9%, 하이히알플러스주 2.4%), 발적 (이 약 3.5%, 하이히알플러스주 1.2%) 순으로 보고되었다.
이 약의 재투여 후 국소부위 이상반응이 있었던 시험대상자에서 있어, 통증은 평균 5.75±5.73일(대조군 3.61±2.89일), 열감은 평균 3.23±2.89일(대조군 2.79±3.38일), 발적은 평균 3.38±3.62일(대조군 2.00일), 부종은 평균 3.70±3.13일(대조군 1.67±0.58일) 지속되었으며, 대부분 특별한 처치 없이 소실되었다.
3) 슬(무릎)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이히알플러스주를 대조군으로 한 이 약의 임상시험(HU-025 P3)에 등록된 303명의 시험대상자 중 276명의 시험대상자에게 이 약 또는 하이히알플러스주를 관절강 내 투여하 였을 때 이 약과의 인과관계여부와 관계없이 발생한 국소부위 반응을 제외한 이상반응 발현빈도는 이 약 투여 군에서는 21.17% (29/137명, 50건), 하이히알플러스주 투여군에서는 28.78% (40/139명, 73건)이었 다. 대부분 경증(80.00 %)에서 중등증(16.00%)이었다. 이 약 투여군에서 1% 이상의 발현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이 약의 임상시험(HU-025 P3)에서 1%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
이상반응 |
이 약 투여군(137명) n (%) |
하이히알플러스주 투여군(139명) n (%) |
비인두염 |
5 (3.65) |
11 (7.91) |
독감 |
0 (0) |
2 (1.44) |
요통 |
4 (2.92) |
3 (2.16) |
관절통 |
4 (2.92) |
2 (1.44) |
경부통(neck pain) |
0 (0) |
3 (2.16) |
근골격통 |
0 (0) |
2 (1.44) |
사지통증 |
2 (1.46) |
0 (0) |
만성위염 |
3 (2.19) |
0 (0) |
구토 |
2 (1.46) |
0 (0) |
두통 |
1 (0.73) |
3 (2.16) |
감각이상 |
2 (1.46) |
2 (1.44) |
말초부종 |
4 (2.92) |
1 (0.72) |
슬(무릎)골관절염 환자 (87명) 대상 이 약의 재 투여 임상시험(HU-025 P3)에서 국소부위 반응을 제외한 이 상반응 발현빈도는 이 약 재 투여 후 12주 동안 13.79% (12/87명, 20건)이었다. 모두 경증(80.00%)과 중 등증(20.00%)이었다. 이 약 투여 후 1% 이상의 발현빈도로 보고된 이상반응은 아래 표4와 같다.
표4. 이 약의 재 투여 임상시험(HU-025 P3)에서 1%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
이상반응 |
이 약 1차 투여 후 0~12주 (137명) n (%) |
이 약 1차 투여 후 0~26주 (137명) n (%) |
이 약 재 투여 후 0~12주 (87명) n (%) |
비인두염 |
4 (2.92) |
5 (3.65) |
1 (1.15) |
치수염 |
0 (0) |
0 (0) |
1 (1,15) |
요통 |
1 (0.73) |
4 (2.92) |
2 (2.30) |
관절통 |
4 (2.92) |
4 (2.92) |
1 (1.15) |
사지통증 |
1 (0.73) |
2 (1.46) |
1 (1.15) |
만성위염 |
1 (0.73) |
3 (2.19) |
1 (1.15) |
장상피화생 |
0 (0) |
1 (0.73) |
1 (1.15) |
두통 |
0 (0) |
1 (0.73) |
1 (1.15) |
감각저하 |
0 (0) |
0 (0) |
1 (1.15) |
감각이상 |
0 (0) |
2 (1.46) |
1 (1.15) |
좌골신경통 |
0 (0) |
1 (0.73) |
1 (1.15) |
안구건조 |
0 (0) |
0 (0) |
1 (1.15) |
혈압 상승 |
0 (0) |
0 (0) |
1 (1.15) |
고지혈증 |
0 (0) |
0 (0) |
1 (1.15) |
위장관 점막하종양 |
0 (0) |
1 (0.73) |
1 (1.15) |
자궁평활근종 |
0 (0) |
1 (0.73) |
1 (1.15) |
불안장애 |
0 (0) |
0 (0) |
1 (1.15) |
자궁폴립 |
0 (0) |
0 (0) |
1 (1.15) |
고혈압 |
1 (0.73) |
1 (0.73) |
1 (1.15) |
4. 일반적 주의
1) 변형성슬관절증으로 관절에 염증이 심한 경우는 이 약의 투여에 의해 국소염증 증상의 악화를 초래할 수 가 있으므로 염증증상을 제거한 후 이 약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 약의 투여로 매우 흔하게 국소통증, 홍반 및 종창(swelling)이 나타나므로, 이 약을 관절강에 투여한 후 48시간 동안은 격렬한 운동이나 관절에 무리가 가는 행동은 피하도록하고, 국소안정을 지시하는 등의 조치를 한다.
3) 이 약은 관절강 외에 누출되면 통증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므로 관절강 내에 확실하게 투여한다.
4) 이 약은 숙련된 의사가 투여해야 한다.
5. 상호작용
이 약과 다른 관절 내 투여제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은 입증되어 있지 않으므로 병용투여하지 않는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이 약의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소아에 대한 이 약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으므로, 이 약의 투여는 권장되지 않는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일반적으로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이 약 투여 시 주의한다.
9. 적용상의 주의
1) 이 약은 슬(무릎)관절강 내로 투여하므로 엄격한 무균조작 하에 실시한다.
2) 관절액의 저류가 있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천자로 삼출물을 제거한 뒤 약물을 투여한다.
3) 혈관내, 관절외 혹은 윤활조직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4) 이 약은 내부에 동봉된 주사침을 사용하여 투여하는 것을 권장한다.
5) 이 약은 살균소독제인 벤잘코늄염화물 등의 제4급 암모늄염 및 클로르헥시딘에 의해 침전을 일으키는 수 가있으므로 주의한다.
6) 이 약은 1회용으로 사용하며, 재멸균 및 재사용할 수 없다. 만약 포장이나 주사기가 열려 있거나 손상이 확 인된 경우 사용해서는 안된다.
7) 주사 부위는 투여 전 알코올이나 다른 적절한 소독 용액으로 소독되어야 한다.
8) 투여 후 시린지, 바늘, 사용하지 않고 남은 물질은 폐기한다.
9) 이 약을 양쪽 무릎에 투여하는 경우, 각각의 부위별로 주사침을 별도로 사용한다.
10) 증상의 개선이 없는 경우 재 투여하지 않는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2) 의약품을 원래 용기에서 꺼내어 다른 용기에 보관하는 것은 의약품 오용에 의한 사고 발생이나 의약품 품 질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원래의 용기에 보관한다.
11.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작용
이 약은 골관절염 환자의 관절강에 투여 시 점탄성을 보충하여 물리적 윤활작용 및 충격 흡수 작용, 또 그로 인한 통증 개선이 가능하고, 활막 내 반감기보다 더 긴 오래 관절 강 내에 머물면서 cytokine 이나 prostaglandin과 같은 염증매개체의 억제, 연골기질의 생성촉진, 분해저하, Proteoglycan의 응집과 합성을 유도하여 염증매개물질의 활성화를 차단, 관절 내 산소유리기 제거, 백혈구의 화학주성과 이동 억제, 통증수용체의 감작 등의 효과가 있다.
2) 약동학적 정보
이 약은 관절강 주사제로서 전신흡수가 거의 되지 않기 때문에, 약동학 시험은 면제되었다.
3) 임상시험 정보
① 이중눈가림, 활성대조 임상시험
슬(무릎)관절의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 1회 투여 또는 활성 대조약(하이히알플러스주) 주1회 3번 투여 시 두 군간 안전성 및 유효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다기관, 무작위이중눈가림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 약(108명) 및 활성 대조약(106명) 투여 후 14주 째 통증 점수(WBP-100mm VAS: 체중부하 시 통증 평가)를 비교(PP 군)한 결과, WBP-100mm VAS가 기저치 대비 이 약은 평균 30.44mm, 활성 대조약은 평균 32.02mm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 비열등함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② 재 투여 임상시험
슬(무릎)관절의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이 약 1회 투여 후 6개월까지의 안전성 및 효능을 확인하고, 추가적으로 재 투여에 대한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다기관, 단일군, 공개 시험이 본 임상시험에 포함되어 실시되었다.
이 약 1회 투여(131명, FA 군) 후 14주 째 WBP-100mm VAS가 기저치 대비 평균 30.89mm 감소하였고, 26주 째 31.38mm 감소하였다. 26주에 재투여한 환자(85명)의 38주째 WBP-100mm VAS가 기저치(26주 째) 대비 평균 2.51mm 감소하였다.
임상연구를 통해 밝혀진 기간 이외의 장기간 사용에 대한 안전성‧유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4) 독성시험
① 반복독성
암수 비글견을 대상으로 이 약 3, 7, 14 mg/kg/day 용량으로, 16주간 5회 반복 관절강내 투여하였다. 모든 용량에서 투여부위 주변의 종창과 투여부위 및 투여부위 주변에 노랑색 겔상 물질이 차있는 소견, 섬유증식 및 호연성 물질의 저류 및 염증세포 침윤, 윤활세포의 비대/과다형성이 관찰되었으나, 독성학적으로 유해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② 유전독성
박테리아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시험,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시험, 마우스 소핵시험의 유전독성시험결과 변이원성 및 염색체이상 유발이 나타나지 않았다.
③ 항원성
Hartley계 기니픽을 이용한 아나필락시스 쇼크(ASA) 반응시험 및 동종 수동 피부 아나필락시스(PCA) 반응시험에서 항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밀봉용기, 차광, 실온(1~30℃) 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0 개월 |
재심사대상 | 재심사대상(4년) [2019-03-08 - 2023-03-07] |
RMP대상 |
RMP대상
|
포장정보 | - 3.0밀리리터/프리필드시린지[(3.0mL/프리필드시린지*1)], - 3.0밀리리터/프리필드시린지[(3.0mL/프리필드시린지*3)], - 3.0밀리리터/프리필드시린지[(3.0mL/프리필드시린지*5)] |
보험약가 | 670608141 ( 35985원-2019.07.01) |
순번 | 변경일자 | 변경항목 |
---|---|---|
순번1 | 변경일자2019-09-02 |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
(주)휴온스의 주요제품 목록(50건)
피오나정30밀리그램(피오글리타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7.02
원더톡스주100단위(클로스트리디움보툴리눔독소A형)
일반의약품
2019.05.28
페리슨SR서방정(에페리손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5.28
아모탈렉스주(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나트륨)
일반의약품
2019.04.17
휴실로서방캡슐100밀리그램(실로스타졸)
일반의약품
2019.03.28
휴실로서방캡슐200밀리그램(실로스타졸)
일반의약품
2019.03.28
휴솔론정(메틸프레드니솔론)
일반의약품
2019.03.28
안티코아SR정300밀리그램(사르포그렐레이트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3.28
레보바이정500밀리그램(레보플록사신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15
레보바이정250밀리그램(레보플록사신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15
리나디포정5mg(리나글립틴)
일반의약품
2019.01.28
리나디포듀오정2.5/1000mg
일반의약품
2019.01.28
리나디포듀오정2.5/850mg
일반의약품
2019.01.28
하이히알원스주(1,4-부탄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로 가교된 히알루론산나트륨 겔)
일반의약품
2019.01.28
엘도캅캡슐(에르도스테인)
일반의약품
2019.00.28
올리다운캡슐60밀리그램(오르리스타트)
일반의약품
2019.00.28
휴덱시연질캡슐(덱시부프로펜)
일반의약품
2019.00.28
콘스티판정2밀리그램(프루칼로프라이드숙신산염)
일반의약품
2019.00.28
콘스티판정1밀리그램(프루칼로프라이드숙신산염)
일반의약품
2019.00.28
휴비안트정20밀리그램(바제독시펜아세테이트)
일반의약품
2018.03.28
비반트플러스디정
일반의약품
2018.03.28
칼디아키즈시럽
일반의약품
2018.03.28
칼디아시럽
일반의약품
2018.03.28
이지타핀정300밀리그램(쿠에티아핀푸마르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8
이지타핀정100밀리그램(쿠에티아핀푸마르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8
이지타핀정25밀리그램(쿠에티아핀푸마르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8
이지타핀정200밀리그램(쿠에티아핀푸마르산염)
일반의약품
2018.02.28
케라탐주사100mg/mL(레비티라세탐)
일반의약품
2018.02.28
아피퀴스정2.5밀리그램(아픽사반)
일반의약품
2018.01.28
아피퀴스정5밀리그램(아픽사반)
일반의약품
2018.01.28
리쥬베주(자하거추출물)
일반의약품
2018.01.28
이지페질정10밀리그램(도네페질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1.28
이지페질정5밀리그램(도네페질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1.28
휴비트란캡슐110밀리그램(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메실산염)
일반의약품
2018.01.28
휴비트란캡슐150밀리그램(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메실산염)
일반의약품
2018.01.28
휴티카정60밀리그램(티카그렐러)
일반의약품
2018.01.01
휴티카정90밀리그램(티카그렐러)
일반의약품
2018.01.01
이지만틴정10밀리그램(메만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8.00.28
덱스티오정480밀리그램(알티옥트산트로메타민염)
일반의약품
2018.00.28
휴세틸건조시럽50mg/5mL(세프포독심프록세틸)
일반의약품
2017.07.28
휴온스아목시크라정625밀리그램(아목시실린수화물·묽은클라불란산칼륨)
일반의약품
2017.07.28
휴세틸정100밀리그램(세프포독심프록세틸)
일반의약품
2017.07.21
휴리어드정(테노포비르디소프록실)
일반의약품
2017.06.28
아모부로펜주(이부프로펜)
일반의약품
2017.06.28
진코발정40밀리그램(은행엽건조엑스)
일반의약품
2017.05.28
진코발정80밀리그램(은행엽건조엑스)
일반의약품
2017.05.28
아미렉틴장용정
일반의약품
2017.04.28
디유비정
일반의약품
2017.00.28
테잘바이정40/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7.00.24
휴온스파모티딘정2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