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엘주(L-카르니틴)
기본정보
성상 | 무색~담황색의 맑은 액이 든 갈색 투명한 앰플 |
---|---|
업체명 | |
위탁제조업체 | 대한뉴팜(주)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2017-11-24 |
품목기준코드 | 201708056 |
표준코드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L-카르니틴
총량 : 1mL 중|성분명 : L-카르니틴|분량 : 200.0|단위 : 밀리그램|규격 : USP|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주사용수, 염산
효능효과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2. 허혈성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3.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용법용량
1. 1차성, 2차성 카르니틴결핍증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심근대사장애 :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성인 : 엘-카르니틴으로서 1일 2~3그람을 2~3회 분할하여 근육 또는 정맥주사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2. 혈액투석중인 말기 신 질환자의 카르니틴 결핍증 치료
초기에는 10~20밀리그람/킬로그람을 매회 혈액투석 종료시 2~3분에 걸쳐 정맥주사한다. 단, 혈액투석전 혈장 엘-카르니틴치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이상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에 과민증 환자
3. 이상반응
일시적인 구역·구토, 체취, 구역, 위염이 보고되었다. 기저 질환의 병리 효과로 인하여 상기 이상반응의 빈도를 평가하기가 어렵다.
발작 병력 유무와 관계없이 L-카르니틴을 경구 또는 정맥 투여한 환자에서 발작이 보고되었다. 기존의 발작 병력이 있던 환자에서는 발작의 빈도 및/또는 강도가 증가되었다. 만성 혈액투석환자를 대상으로 한 2건의 이중맹검, 위약 대조 시험에서 인과성에 관계없이 5% 이상 보고된 이상반응은 다음 표와 같다.
<인체에서 인과성에 관계없이 5% 이상 빈도를 보이는 이상반응>
수치는 %를 의미
위약 (n=63) |
L-카르니틴 10mg (n=34) |
L-카르니틴 20mg (n=62) |
L-카르니틴 40mg (n=34) |
L-카르니틴 10,20,40mg (n=130) |
|
전신 |
|||||
복통 |
17 |
21 |
5 |
6 |
9 |
우발적상해 (accidental injury) |
10 |
12 |
8 |
12 |
10 |
알러지 반응 |
5 |
6 |
- |
- |
2 |
무력증 |
8 |
9 |
8 |
12 |
9 |
요통 |
10 |
9 |
8 |
6 |
8 |
흉통 |
14 |
6 |
15 |
12 |
12 |
열 |
5 |
6 |
5 |
12 |
7 |
독감증후군 (Flu Syndrome) |
40 |
15 |
27 |
29 |
25 |
두통 |
16 |
12 |
37 |
3 |
22 |
감염 |
17 |
15 |
10 |
24 |
15 |
주사부위 반응 (Injection site reaction) |
59 |
38 |
27 |
38 |
33 |
통증 |
49 |
21 |
32 |
35 |
30 |
심혈관계 |
|||||
부정맥 |
5 |
3 |
- |
3 |
2 |
심실 세동 |
- |
- |
2 |
6 |
2 |
심혈관계 질환 |
6 |
3 |
5 |
6 |
5 |
비정상적 심전도 |
- |
3 |
- |
6 |
2 |
출혈 |
6 |
9 |
2 |
3 |
4 |
고혈압 |
14 |
18 |
21 |
21 |
20 |
저혈압 |
19 |
15 |
19 |
3 |
14 |
심계항진 |
- |
3 |
8 |
- |
5 |
빈맥 |
5 |
6 |
5 |
9 |
6 |
혈관장애 |
2 |
- |
2 |
6 |
2 |
소화기계 |
|||||
식욕부진 |
3 |
3 |
5 |
6 |
5 |
변비 |
6 |
3 |
3 |
3 |
3 |
설사 |
19 |
9 |
10 |
35 |
16 |
소화불량 |
10 |
9 |
6 |
- |
5 |
위장관질환 |
2 |
3 |
- |
6 |
2 |
흑색변 |
3 |
6 |
- |
- |
2 |
구역 |
10 |
9 |
5 |
12 |
8 |
위장 무기력 |
5 |
- |
- |
- |
- |
구토 |
16 |
9 |
16 |
21 |
15 |
내분비계 |
|||||
부갑상선 질환 |
2 |
6 |
2 |
6 |
4 |
혈액 및 림프계 |
|||||
빈혈 |
3 |
3 |
5 |
12 |
6 |
대사성/영양성 |
|||||
고칼슐혈증 |
3 |
15 |
8 |
6 |
9 |
고칼륨혈증 |
6 |
6 |
6 |
6 |
6 |
과혈량증 |
17 |
3 |
3 |
12 |
5 |
말초부종 |
3 |
6 |
5 |
3 |
5 |
체중감소 |
3 |
3 |
8 |
3 |
5 |
체중증가 |
2 |
3 |
- |
6 |
2 |
근육-골격계 |
|||||
다리경련 |
13 |
- |
8 |
- |
4 |
근육통 |
6 |
- |
- |
- |
- |
신경계 |
|||||
불안 |
5 |
- |
2 |
- |
1 |
우울 |
3 |
6 |
5 |
6 |
5 |
어지러움 |
11 |
18 |
10 |
15 |
13 |
약물의존 |
2 |
6 |
- |
- |
2 |
긴장항진 |
5 |
3 |
- |
- |
1 |
불면 |
6 |
3 |
6 |
- |
4 |
감각이상 |
3 |
3 |
3 |
12 |
5 |
현훈 |
- |
6 |
- |
- |
2 |
호흡계 |
|||||
기관기염 |
- |
- |
5 |
3 |
3 |
기침증가 |
16 |
- |
10 |
18 |
9 |
호흡곤란 |
19 |
3 |
11 |
3 |
7 |
인두염 |
33 |
24 |
27 |
15 |
23 |
호흡계질환 |
5 |
- |
- |
- |
- |
비염 |
10 |
6 |
11 |
6 |
9 |
부비강염 |
5 |
- |
2 |
3 |
2 |
피부계 |
|||||
소양증 |
13 |
- |
8 |
3 |
5 |
발진 |
3 |
- |
5 |
3 |
3 |
특별감각계 |
|||||
약시 |
2 |
- |
6 |
- |
3 |
안질환 |
3 |
6 |
3 |
- |
3 |
미각이상 |
- |
- |
2 |
9 |
3 |
비뇨기계 |
|||||
비뇨기감염 |
6 |
3 |
3 |
- |
2 |
신부전 |
5 |
6 |
6 |
6 |
6 |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환자에게서 발진, 두드러기, 안면부종이 보고되었다.
경구로 엘카르니틴을 투여한 요독증 환자에게서 경증의 근무력증이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신부전 환자에서 경구 투여용 L-카르니틴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평가되지 않았다. 중증 신장 기능 부전 환자나 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ESRD 환자에게 경구 투여용 L-카르니틴을 고용량으로 만성 투여 시 잠재적인 독성 물질인 트리메틸아민(TMA) 및 트리메틸아민-N-옥사이드(TMAO)의 축적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대사산물은 요로 배설되기 때문이다.
5. 상호작용
와파린 사용 환자에서 INR 증가가 보고되었다. 와파린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L-카르니틴의 치료를 시작하였거나 용량 적정을 실시한 후에는 INR 수치를 모니터링할 것이 권장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투여
임부를 대상으로 L-카르니틴을 투여한 적절한 자료가 없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치료상의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랫드와 토끼에서 수행된 생식독성시험에서 체표면적 기준으로 사람에게 투여하는 용량의 3.8배까지 생식능이나 태자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나, 인체에서의 잠재적 위험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2) 수유부에 대한 투여
수유부에서 L-카르니틴이 모유를 통해 배출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유익성•위해성을 고려하여 수유 또는 L-카르니틴의 투여를 중단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7. 과량투여시의 처치
L-카르니틴 과량 투여로 인한 독성은 보고된 바 없다. 과량투여시 투석을 통하여 혈장중 L-카르니틴을 제거할 수 있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차광밀봉용기, 실온(1~30℃)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36개월 |
재심사대상 | |
RMP대상 | |
포장정보 | 10mL/앰플 x 10 |
보험약가 |
순번 | 변경일자 | 변경항목 |
---|---|---|
순번1 | 변경일자2019-02-23 |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 |
대원제약(주)의 주요제품 목록(50건)
팜씨원정250mg(팜시클로비르)
일반의약품
2019.06.28
콜대원코프에이시럽(수출용)
일반의약품
2019.05.28
콜대원콜드에이시럽(수출용)
일반의약품
2019.05.28
싹대원쿨겔
일반의약품
2019.05.26
콜대원노즈에이시럽(수출용)
일반의약품
2019.05.23
싹대원핫크림
일반의약품
2019.04.28
알포콜린정(콜린알포세레이트)
일반의약품
2019.04.28
트라리틴콤비정2.5/500mg
일반의약품
2019.04.18
트라리틴콤비정2.5/850mg
일반의약품
2019.04.18
투티네콜정(베타네콜염화물)
일반의약품
2019.03.28
레바원정(레바미피드)
일반의약품
2019.03.09
알포콜린시럽(콜린알포세레이트)
일반의약품
2019.02.28
록씨원정(록시트로마이신)
일반의약품
2019.02.28
트라리틴콤비정2.5/1000mg
일반의약품
2019.02.28
루라틴정150mg(라니티딘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2.15
업타바캡슐
일반의약품
2019.02.02
에스암핀정5밀리그램(에스암로디핀베실산염이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1.28
원커민정(펠라고니움시도이데스11%에탄올건조엑스(5.5~6.6→1))
일반의약품
2019.01.28
보니센주(프리필드)(히알루론산나트륨)
일반의약품
2019.01.28
루라틴정75mg(라니티딘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0.28
프루칼정1mg(프루칼로프라이드숙신산염)
일반의약품
2019.00.28
프루칼정2mg(프루칼로프라이드숙신산염)
일반의약품
2019.00.28
리카뉴로서방정150mg(프레가발린)
일반의약품
2019.00.14
리카뉴로서방정300mg(프레가발린)
일반의약품
2019.00.14
시알롱기구강용해필름20mg(타다라필)
일반의약품
2018.05.15
시알롱기구강용해필름10mg(타다라필)
일반의약품
2018.05.15
코나프레쉬나잘스프레이액(염화나트륨)
일반의약품
2018.04.28
다비닥사캡슐110mg(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
일반의약품
2018.04.28
다비닥사캡슐150mg(다비가트란에텍실레이트)
일반의약품
2018.04.28
엘스테인정(에르도스테인)
일반의약품
2018.04.28
시알롱기정20mg(타다라필)
일반의약품
2018.03.28
시알롱기정10mg(타다라필)
일반의약품
2018.03.28
시알롱기정5mg(타다라필)
일반의약품
2018.03.28
알포콜린리드캡슐(콜린알포세레이트)
일반의약품
2018.03.28
챔바스정1mg(바레니클린살리실산염)
일반의약품
2018.03.28
챔바스정0.5mg(바레니클린살리실산염)
일반의약품
2018.03.28
콜대원노즈에이시럽(수출용)
일반의약품
2018.03.28
콜대원코프에이시럽(수출용)
일반의약품
2018.03.28
콜대원콜드에이시럽(수출용)
일반의약품
2018.03.28
피디원정(메틸프레드니솔론)
일반의약품
2018.03.28
콜대원코나에스나잘스프레이액
일반의약품
2018.03.21
트라리틴정(리나글립틴)
일반의약품
2018.03.13
알지캄액(알긴산나트륨)
일반의약품
2018.03.12
베포스타서방정(베포타스틴살리실산염)
일반의약품
2018.03.12
트리인원정80/10/20mg
일반의약품
2018.02.23
트리인원정80/10/10mg
일반의약품
2018.02.23
트리인원정80/5/10mg
일반의약품
2018.02.22
트리인원정80/5/5mg
일반의약품
2018.02.22
트리인원정40/5/10mg
일반의약품
2018.02.22
자누리틴알파정100밀리그램(시타글립틴염산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