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롤산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마약류구분, 기타식별표시, 첨부문서 정보 제공
성상 백색의 분말로 단맛과 신맛이 있다.
업체명
전문/일반 일반의약품
허가일 1993-04-28
품목기준코드 199302677
취소/취하구분 취하
취소/취하일자 2018-04-17
표준코드 8806501003203, 8806501003210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탄산마그네슘, 시트르산

총량 : 1포(50g) 중|성분명 : 탄산마그네슘|분량 : 10.75|단위 : 그램|규격 : KP|성분정보 : 산화마그네슘으로서 4.315g|비고 :

총량 : 1포(50g) 중|성분명 : 시트르산|분량 : 19.5|단위 : 그램|규격 : KP|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아스파탐, 유당수화물, 탄산수소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나트륨, 백당, 히프로멜로오스2910, 정제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오렌지미크론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아스파탐, 유당수화물

첨가제주의사항

 

대장 X선 검사, 대장내시경검사, 직장경검사(탈장, 치질), 정맥요로조영(IVP), 복부외과수술 시의 전처치용 하제

 

1회 1포(50 g)를 물에 녹여 250 mL로 만들어 검사 10∼15시간 전에 복용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신장애 환자(마그네슘의 배설지연으로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상승하고, 다량의 수분섭취로 신장에 부하가 가중되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2) 소화관 폐색이 있거나 의심되는 환자 및 중증의 단단하게 뭉친 변이 있는 환자(장관내용적의 증가와 장운동의 항진으로 장관내 압력이 상승하고, 장관점막의 허혈성변화로 정폐색, 장천공이 생길 수 있다.)

3) 구역, 구토, 복통 등 급성 복증이 의심되는 환자(장관내용적의 증가와 장운동의 항진으로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4) 중독성 거대결장 환자(천공, 복막염, 장관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5) 소아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빈혈, 저혈압 등의 순환기계 증상이 있는 환자(탈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2) 소화관 염증 등에 의한 장출혈이 있는 환자

3) 심장애 환자(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상승하여 심기능이 억제될 수 있다.)

4) 고마그네슘혈증 환자(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5) 위절제 병력이 있는 환자

6) 복부수술의 병력이 있는 환자(수술 후 유착이 발생하면 장관내용적의 증가와 장운동의 항진으로 장폐색과 장천공이 나타날 수 있다.)

7) 장관협착으로 및 중증 변비 환자(장관내용적의 증가와 장운동의 항진으로 장폐색과 장천공이 나타날 수 있다.)

8) 장관게실이 있는 환자(장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9) 고령자

3. 이상반응

1) 이 약과 관련된 중대한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장천공, 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복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한 후 X선 검사, 초음파, CT 등의 영상진단을 실시하여 이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② 허혈성 대장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복통, 혈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③ 고마그네슘혈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구역, 구토, 서맥, 근력저하, 졸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혈중 전해질을 측정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2) 과민반응 :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3) 소화기계 : 복부팽만감, 때때로 복통, 구역, 구토, 창자가스소리가 나타날 수 있다.

4) 순환기계 : 수분섭취 부족으로 인한 탈수 증상, 드물게 열감, 홍조, 마비, 얼굴창백, 혈압저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5) 정신신경계 : 어지러움, 비틀거림, 무력감, 불쾌감 등이 나타날 수 있다.

6) 내분비계 : 요케톤체 양성, 때때로 요산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7) 간장 : 혈청총빌리루빈 상승, 때때로 AST, ALT, 총콜레스테롤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8) 신장ㆍ비뇨기계 : 요 pH 상승, 때때로 BUN 저하, 요단백 양성이 나타날 수 있다.

9) 혈액계 : 혈청마그네슘치 상승, 때때로 백혈구수 증가, 단핵구 이상, 혈청 칼슘ㆍ나트륨ㆍ칼륨ㆍ염소의 이상이 나타날 수 있다.

4. 일반적 주의

1) 이 약이 장관 내에 축적되면, 장관내용물이 많아지고 장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장내 압력이 상승하여 장천공, 장폐색, 허혈성대장염, 고마그네슘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증 이상반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을 확인한다.

① 환자의 일상적인 배변상태를 확인하여 이 약 투여 전에 적절한 배변활동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한다.

②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혼자서 대응하기 힘들 수 있으므로, 환자 혼자 있는 장소에서는 복용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③ 구역, 구토, 복통, 혈압저하 등의 이상반응을 미리 환자에게 설명하여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알리도록 교육한다.

2) 이 약 복용 중 많은 양의 체액손실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가 되지 않도록 한다.

3) 이 약을 계속 복용하면 작은창자의 영양분 흡수를 저해할 수 있으므로 계속 복용은 피하도록 한다.

4) 배변 시 장관내 압력의 변화로 인해 어지러움, 비틀거림, 일시적인 혈압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해야 한다.

5) 위절제수술 병력이 있는 환자는 덤핑증후군에 주의하고, 이 약을 한 번에 투여하는 도중 어지러움, 휘청거림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한다.

5. 상호작용

1) 이 약은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병용하지 않도록 한다.

2) 이 약은 뉴퀴놀론계 항생제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병용하지 않도록 한다.

3) 이 약은 살리실산염 등의 산성약물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이 약은 메탄페타민 등의 염기성약물의 효과를 증강시킬 수 있다.

6. 임부에 대한 투여

자궁수축유발로 조기분만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임부 및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투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전해질 이상 등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소아에게는 투여하지 않는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1) 고령자는 장천공, 장폐색을 포함한 증증의 이상반응이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으므로 투여 중 충분히 관찰하고 이상이 발생하면 즉시 적절한 진단과 처치를 한다.

2) 고령자는 생리기능이 저하되어있는 경우가 많아 혈중 마그네슘농도 상승 등의 전해질이상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감량하는 등 주의하고, 어지러움, 휘청거림, 혈압저하 등의 이상이 나타나면 투여를 중지하고 적절한 처치를 한다.

9. 임상검사치에의 영향

이 약 투여에 의한 요 pH의 알칼리성 변화로 인해 테트라브롬페놀블루를 이용한 요단백검사에서 위양성을 나타낼 수 있다.

10. 적용상의 주의

조제 시 이 약에 다른 성분을 첨가하지 않는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및 기간, RMP대상 및 기간, 포장 정보, 보험 코드, 보험 약가, 보험 적용일
저장방법 차광기밀용기(방습)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36 개월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50그람
보험약가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09-03-25 변경항목효능효과변경
순번2 변경일자2009-03-25 변경항목용법용량변경
순번3 변경일자2009-03-25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