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이리치프리필드시린지주(리산키주맙,유전자재조합)
기본정보
성상 | 무색 내지 옅은 노란색의, 투명하거나 약간 불투명한 액이 주사침이 부착된 무색투명한 유리 프리필드시린지에 든 주사제 |
---|---|
업체명 |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2019-12-03 |
품목기준코드 | 201908205 |
표준코드 | 8806249003602, 8806249003619, 8806249003626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리산키주맙
총량 : 1 프리필드시린지(0.83mL) 중|성분명 : 리산키주맙|분량 : 75.0|단위 : 밀리그램|규격 : 별규|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주사침, 소르비톨, 주사용수, 폴리소르베이트 20, 숙신산, 숙시네이트이나트륨육수화물
효능효과
광선요법 또는 전신치료요법(생물학적 요법 포함)을 필요로 하는 중등도에서 중증의 성인 판상 건선의 치료
용법용량
이 약은 1회 150mg(75mg을 2회 주사)을 0주, 4주, 그 이후에는 12주마다 한 번씩 피하투여한다.
사용상의주의사항
1. 경고
1) 감염
이 약은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만성 감염이 있거나 재발성 감염 병력이 있는 환자들에서는 이 약을 처방하기 전 위험성과 유익성을 고려해야 한다.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중요한 감염의 증상이나 징후가 발생하면 의학적 조언을 구하도록 환자들을 교육해야 한다. 환자에서 이러한 감염이 발생하거나 환자가 감염에 대한 표준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이 환자를 면밀하게 모니터하고 감염이 해결될 때까지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결핵
3상 건선 임상시험들에서, 시험 기간 동안 이 약과 적절한 결핵 예방 요법으로 병용 치료 받은 잠복 결핵 시험대상자 72명 중 이 약 투여 후 평균 61주의 추적 기간 동안 활동성 결핵이 발생한 시험대상자는 없었다. 잠복 결핵 환자에서는 이 약을 시작하기 전에 항결핵 치료를 고려한다. 활동성 결핵 환자에게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2) 예방 접종
이 약으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현행 접종 지침에 따라 모든 적절한 예방 접종이 완료되었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이 약은 생백신과 함께 사용해서는 안 된다. 생백신이나 불활성화 백신에 대한 반응에 관하여 이용 가능한 자료는 없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의 주성분 또는 이 약의 첨가제에 중증 과민성이 있는 환자
3. 약물이상반응
1) 임상 시험 경험
총 2234명의 시험대상자가 판상 건선에 대한 임상 개발 시험들에서 이 약으로 치료를 받았으며, 이는 2167 시험대상자-년 노출을 나타낸다. 이러한 시험대상자들 중, 건선 시험대상자 1208명이 이 약에 적어도 1년 동안 노출되었다.
위약- 및 활성약-대조 임상시험들에서 얻은 자료를 통합하여 최대 16주 동안 이 약의 안전성을 평가했다. 총 1306명의 시험대상자가 이 약 150 mg군에서 평가되었다. 중대한 이상 사례는 이 약 투여군의 경우 2.4%에서 발생한 것에 비해(100 시험대상자-년 당 9.9건) 위약군의 경우 4.0% (100 시험대상자-년 당 17.4건), 우스테키누맙군의 경우 5.0%(100 시험대상자-년 당 18.4건), 아달리무맙군의 경우 3.0%(100 시험대상자-년 당 14.7건)에서 발생했다.
임상 시험들에서 이 약에 대하여 보고된 이상 사례들(표 1)은 MedDRA 기관 장기 분류에 따라 나열되어 있으며, 다음 빈도에 근거하여 제시되어 있다: 매우 흔하게(≥1/10); 흔하게 (≥1/100 ~ <1/10); 때때로(≥1/1,000 ~ < 1/100); 드물게 (≥1/10,000 ~ < 1/1,000); 매우 드물게 (<1/10,000).
표 1.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약물 이상 반응 목록
기관장기 분류 |
빈도 |
이상 사례 |
감염 및 기생충 감염 |
매우 흔하게 |
상기도 감염a |
흔하게 |
백선 감염b |
|
때때로 |
모낭염 |
|
신경계 이상 |
흔하게 |
두통 |
전신 이상 및 투여 부위 상태 |
흔하게 |
피로d 주사 부위 반응e |
a 호흡기 감염(바이러스성, 세균성 또는 상세 불명), 부비동염(급성 포함), 비염, 비인두염, 인두염 (바이러스성), 편도선염 포함 b 발 백선, 샅 백선, 체부 백선, 어루러기, 손 백선 포함 c 두통, 긴장성 두통, 부비동 두통 포함 d 피로, 무력증 포함 e 주사 부위 멍, 홍반, 혈종, 출혈, 자극, 통증, 가려움증, 반응, 부종 포함 |
특정 이상 사례
감염
첫 16주 동안, 감염은 이 약 투여군의 22.1%에서 발생한 것에 비해(100 시험대상자-년 당 90.8건) 위약군의 14.7% (100 시험대상자-년 당 56.5건), 우스테키누맙 군의 20.9%(100 시험대상자-년 당 87.0건), 아달리무맙 군의 24.3%(100 시험대상자-년 당 104.2건)에서 발생했다. 대부분의 사례가 중대하지 않았고 중증도가 경증 ~ 중등증이었으며 이 약 중단을 유발하지 않았다.
이 약에 대한 장기 노출을 포함하는 전체 건선 프로그램에 걸친 감염의 발생률(100 시험대상자-년 당 75.5건)은 치료 첫 16주 동안 관찰된 발생률과 비슷했다.
장기 안전성
52주차까지, 이상 사례의 빈도는 치료 첫 16주 동안 관찰된 안전성 프로필과 비슷했다. 52주차까지, 중대한 이상 사례에 대한 100 시험대상자-년 당 노출-보정 발생률은 이 약으로 치료 받은 시험대상자의 경우 9.4였고, 우스테키누맙으로 치료 받은 시험대상자의 경우 10.9였다. 이 약에 최대 77주 동안 노출된 시험대상자들에 대하여, 치료 첫 16주 동안과 비교했을 때 새로운 이상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2) 면역원성
모든 치료용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이 약 투여 시 면역원성이 발생할 잠재성이 있다. 항체 형성 검출은 시험법의 민감성과 특이성에 매우 의존적이다. 또한, 분석에서 관찰된 항체(중화 항체 포함) 양성 발생률은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자들에는 분석 방법, 검체 취급, 검체 채취 시점, 병용 약물 및 기저 질환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이 약에 대한 항체의 발생률을 다른 제품에 대한 항체 발생률과 비교하는 것은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다.
건선 임상시험들에서 최대 52주 동안 이 약을 권장 임상 용량으로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의 경우, 치료 중 발생한 항-약제 항체 및 중화 항체는 평가된 시험대상자 중 각각 24% (263/1079) 및 14% (150/1079)에서 검출되었다.
중화 항체를 포함한 이 약에 대한 항체는 임상 반응이나 안전성 변화와 관련이 없었다.
4. 일반적 주의
1) 과민성
중증 과민반응이 발생하면 이 약의 사용을 즉시 중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5. 상호작용
이 약은 간 효소에 의한 대사나 신장 배설을 거치는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이 약과 약물 대사 효소 억제제/유도제 간의 약물 상호작용은 예상되지 않는다.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에서의 약물-약물 상호작용 시험 및 집단 약동학 분석의 결과에 근거할 때, 이 약은 약물-약물 상호작용을 유발하지도, 약물-약물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지도 않을 것이다.
이 약을 사이토크롬 P450 기질과 병용 투여하는 경우 용량 조절은 필요하지 않다.
이 약으로 치료하는 동안 생백신을 투여해서는 안된다. (1. 경고, 2) 예방접종 항 참조)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임부
임신 여성에서의 이 약 사용에 관하여 이용 가능한 자료는 제한적이며, 약물-관련 위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이 약은 이익이 위험을 명백히 상회하는 경우에만 임부에게 투여할 수 있다.
1) 동물 및/또는 사람에서의 자료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출생 전/후 발달 독성 강화(enhanced) 시험이 수행되었다. 임신한 시노몰구스 원숭이에게 임신 20일째부터 분만 시까지 이 약 5 및 50 mg/kg을 매주 피하 투여하고, 시노몰구스 원숭이(모체 및 영아)를 분만 후 6개월(180일) 동안 추적 조사했다. 이러한 용량들은 인체에 대한 최대 권장 용량(maximum recommended human dose; MRHD)에서의 임상 노출보다 최대 약 70배 더 높은 노출을 유발했다. 약물-관련 태아/영아 사망 및/또는 기형은 관찰되지 않았다. 영아 성장 및 발달에 대한 영향은 없었으며, 이러한 평가에는 외형, 내장, 골격 및 신경행동학적 변수 및 발달 면역 독성 결과변수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었다. 영아에서, 평균 혈청 농도는 용량-의존적 양상으로 증가했고 각 모체 농도의 약 20-90%였다. 분만 후, 리산키주맙-치료군에서 대부분의 성체 암컷 시노몰구스 원숭이와 모든 영아는 분만 후 91일차까지 혈청 리산키주맙 농도가 측정 가능했다. 분만 후 180일째에 혈청 농도는 검출 가능 한계 미만이었다.
2) 가임 여성
가임 여성은 치료 기간 동안 및 치료 후 적어도 20주 동안 효과적인 피임법을 사용해야 한다.
수유
사람의 모유 중 이 약의 존재로 인한 수유 중인 영아에 대한 영향, 또는 모유 생성에 대한 영향에 관한 자료는 없다. 사람 IgG가 사람의 모유로 분비되기는 하지만, 출판된 자료는 모유 중에 존재하는 항체가 많은 양으로 신생아 및 영아의 순환혈로 들어가지 않음을 제시한다. 영아에 대한 모유 수유의 이점과 수유부에 대한 이 약 치료의 이점을 고려하여 치료의 중단 또는 종료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8세 미만 소아 환자에서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65세 이상 환자에 대한 정보는 제한적이다.
9. 간장애 또는 신장애 환자에 대한 투여
이 약의 약동학에 대한 간장애 또는 신장애의 영향을 평가한 특정한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13. 전문가를 위한 정보, 2) 약동학적 정보 참고).
10. 과량투여시 처치
과량 투여가 발생한 경우, 이상 사례의 모든 징후 및 증상에 대하여 환자를 모니터하고 적절한 대증 치료를 즉시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
11. 적용상의 주의
환자들은 피하 주사 방법을 훈련 받은 후에 이 약을 스스로 주사할 수 있다.
환자들에게 전체 용량이 150 mg인 경우 2개의 프리필드시린지를 주사해야 하며, 투여 전에 사용 지시사항을 읽도록 지시해야 한다. 각 프리필드시린지는 한 번만 사용한다.
각 투여 시, 서로 다른 해부학적 위치(예, 허벅지 또는 복부)에 주사해야 하며 피부가 압통이 있거나, 멍들었거나, 홍반이 있거나, 경화되었거나, 건선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부위에는 투여하지 않는다. 의료 전문가나 간병인만이 이 약을 외측 상완에 투여할 수 있다.
사용하지 않은 의약품이나 폐기물은 규정에 따라 폐기해야 한다.
12.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냉장고에 넣어 2° C ~ 8° C 에서 보관한다. 얼리지 않도록 한다. 프리필드시린지를 포장 상자에 넣어 차광 보관한다.
13. 전문가를 위한 정보
1) 약리학적 정보
작용기전
이 약은 인체 인터루킨 23(interleukin 23; IL-23) 사이토카인의 p19 아단위(subunit)에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IL-23과 IL-23 수용체 복합체와의 상호작용을 저해하는 인간화 면역글로불린 G1(immunoglobulin G1; IgG1) 단일클론 항체이다. IL-23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염증 및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IL-23은 Th17 세포의 생성, 유지 및 활성화를 지원하며, Th17 세포는 IL-17A, IL-17F, 및 IL-22뿐 아니라 다른 전(pro)-염증 사이토카인들을 생산하여 건선과 같은 염증성 자가 면역 질환을 유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23은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의 비-병변 피부에 비해 병변 피부 내에서 상향-조절되어 있다. 이 약은 IL-23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IL-23-의존적 세포 신호전달 및 전-염증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억제한다.
이 약은 IL-23과 p40 아단위를 공유하는 인체 IL-12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약력학
건선 환자에 대한 시험에서, 이 약을 단회 투여한 후 피부에서 IL-23/IL-17 축(axis)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되었다. 건선 병변에서 표피 두께, 염증 세포 침윤, 및 건선 질환 표지자의 발현 감소도 관찰되었다.
2) 약동학적 정보
① 흡수
이 약은 피하 투여 시 18 ~ 300 mg 및 0.25 ~ 1 mg/kg 용량 범위에서, 정맥 투여 시 200 ~ 1200 mg 및 0.01 ~ 5 mg/kg 용량 범위에서 노출이 용량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선형 약동학을 나타냈다.
이 약을 피하 투여한 후, 투여 후 3-14일 사이에 최고 혈장 농도에 도달했고 추정된 절대 생체이용률은 89%였다. 건선 시험대상자에 대한 투여 용법(0주차, 4주차, 및 이후 12주마다 150 mg)으로 투여한 경우, 추정된 항정상태 최고 및 최저 혈장 농도는 각각 12 및 2 μg/mL이다.
② 분포
체중 90 kg의 전형적인 건선 시험대상자에서, 항정상태 분포 용적(Vss)은 11.2 L였고, 이는 이 약의 분포가 주로 혈관 및 간질 영역에 한정됨을 나타낸다.
③ 대사
치료용 IgG 단일클론 항체는 내인성 IgG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이화 경로를 통해 소분자 펩티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된다. 이 약은 사이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④ 배설
체중 90 kg의 전형적인 건선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이 약의 전신 청소율(CL)은 0.31 L/day였고 최종 제거 반감기는 28일이었다.
이 약은 IgG1 단일클론 항체이기 때문에 신장 내 사구체 여과를 통해 여과되거나 온전한 분자로서 소변 중으로 배설되는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⑤ 약물 상호 작용
이 약의 반복 투여가 사이토크롬 P450 (CYP)에 민감한 탐침 기질들의 약동학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들에서 약물 상호작용 임상시험이 수행되었다. 이 약의 투여 후 카페인(CYP1A2 기질), 와파린(CYP2C9 기질), 오메프라졸(CYP2C19 기질), 메토프롤롤(CYP2D6 기질) 및 미다졸람(CYP3A4 기질)의 노출은 이 약의 치료 전 노출과 동등했으며, 이는 이러한 효소들을 통해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약물 상호작용이 없음을 나타낸다.
집단 약동학 분석은 이 약의 노출이 임상 시험 기간 동안 일부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들이 사용한 병용 약물(메트포르민, 아토르바스타틴, 리시노프릴, 암로디핀, 이부프로펜, 아세틸살리실산 및 레보티록신)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특수 집단에서의 약동학
① 소아
소아 시험대상자에서 이 약의 약동학은 확립되지 않았다.
② 노인
이 약에 노출된 2234명의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 중, 243명이 65세 이상이었고 24명은 75세 이상이었다. 이 약을 투여 받은 나이가 더 많은 시험대상자와 더 젊은 시험대상자 간에 이 약의 노출, 안전성 및 유효성 면에서 전체적인 차이는 없었다.
③ 간장애 또는 신장애
이 약의 약동학에 대한 간장애 또는 신장애의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 특별히 수행된 시험은 없다. 집단 약동학 분석에 근거할 때,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크레아티닌 청소율, 또는 간기능 지표(ALT/AST/빌리루빈)는 건선 시험대상자에서 이 약의 청소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gG1 단일클론 항체이기 때문에, 이 약은 주로 세포 내 이화 작용에 의해 제거되며, 간의 사이토크롬 P450 효소에 의한 대사나 신장 배설을 거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
④ 체중
이 약의 청소율과 분포 용적은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그러나, 이 약의 유효성과 안전성 면에서 체중 증가에 따른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체중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필요는 없다.
⑤ 성별 또는 인종
이 약의 청소율은 성인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들에서 성별이나 인종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임상 약동학 시험에서 백인 시험대상자와 중국인 또는 일본인 시험대상자를 비교했을 때 이 약의 노출 면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3) 임상시험 정보
네 건의 다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임상시험(ULTIMMA-1, ULTIMMA-2, IMMHANCE, 및 IMMVENT)에서 중등증에서 중증 판상 건선 시험대상자 2109명에 대해 이 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했다. 등록된 시험대상자는 체표면적(body surface area; BSA)의 ≥10%에 판상 건선이 있고, 건선의 중증도를 0점에서 4점으로 나타내는 전체적인 평가(건선 두께/경화, 홍반, 낙설)에서 의료진의 전반적 평가(static Physician Global Assessment; sPGA) 점수가 3점 이상이고, 건선 면적 및 중증도 지수 (Psoriasis Area 및 Severity Index; PASI) 점수가 12점 이상인 18세 이상의 환자였다.
전반적으로, 시험대상자들은 베이스라인에서의 PASI 점수 중앙값이 17.8이었고, BSA 중앙값이 20.0%였다. 시험대상자 중 19.3%에서 베이스라인 sPGA 점수가 중증이었다. 시험대상자 중 총 9.8%가 건선성 관절염을 진단 받은 이력이 있었다.
모든 임상시험들에 걸쳐, 시험대상자 중 38.1%가 건선 치료를 위해 이전에 광선요법을 받았고, 48.3%는 이전에 비-생물학적 전신 요법을, 42.1%는 생물학적 요법을 투여 받았다. 이전에 생물학적 요법을 투여 받았던 시험대상자 중, 23.7%가 적어도 한 가지의 항-TNF 알파 약제를 투여 받았다.
ULTIMMA-1 및 ULTIMMA-2
ULTIMMA-1 및 ULTIMMA-2에는 997명의 시험대상자가 등록되었다(598명은 이 약 150 mg에, 199명은 우스테키누맙 45 mg 또는 90 mg에, 200명은 위약에 무작위 배정되었다). 시험대상자들은 0주차, 4주차, 그리고 이후 12주마다 치료를 받았다. 결과가 표 2와 그림 1에 제시되어 있다.
표 2. ULTIMMA-1 및 ULTIMMA-2에서 판상 건선 성인에 대한 유효성 결과
|
ULTIMMA-1 |
ULTIMMA-2 |
||||
|
이 약 (N=304) n(%) |
우스테키누맙 (N=100) n(%) |
위약 (N=102) n(%) |
이 약 (N=294) n(%) |
우스테키누맙 (N=99) n(%) |
위약 (N=98) n(%) |
병변이 전혀 없거나(clear) 거의 없는(almost clear) sPGA (0또는 1) |
||||||
Week 12 |
250 (82.2) |
65 (65.0) |
9 (8.8) |
242 (82.3) |
64 (64.6) |
9 (9.2) |
Week 16 |
267 (87.8)a |
63 (63.0) |
8 (7.8) |
246 (83.7)a |
61 (61.6) |
5 (5.1) |
Week 52 |
262 (86.2) |
54 (54.0) |
- |
245 (83.3) |
54 (54.5) |
- |
병변이 전혀 없는(clear) sPGA (0) |
||||||
Week 16 |
112 (36.8) |
14 (14.0) |
2 (2.0) |
150 (51.0) |
25 (25.3) |
3 (3.1) |
Week 52 |
175 (57.6) |
21 (21.0) |
- |
175 (59.5) |
30 (30.3) |
- |
PASI 75 |
||||||
Week 12 |
264 (86.8) |
70 (70.0) |
10 (9.8) |
261 (88.8) |
69 (69.7) |
8 (8.2) |
Week 52 |
279 (91.8) |
70 (70.0) |
269 (91.5) |
76 (76.8) |
||
PASI 90 |
||||||
Week 16 |
229 (75.3)a |
42 (42.0) |
5 (4.9) |
220 (74.8)a |
47 (47.5) |
2 (2.0) |
Week 52 |
249 (81.9) |
44 (44.0) |
237 (80.6) |
50 (50.5) |
- |
|
PASI 100 |
||||||
Week 16 |
109 (35.9) |
12 (12.0) |
0 (0.0) |
149 (50.7) |
24 (24.2) |
2 (2.0) |
Week 52 |
171 (56.3) |
21 (21.0) |
- |
175 (59.5) |
30 (30.3) |
|
ULTIMMA-2 임상시험의 Week 52주째 PASI 75 (p=0.001)를 제외하고, 이 약과 우스테키누맙, 위약의 비교 모두에서 p<0.001을 획득하였다. a 위약 대비 공동 일차 평가 변수 |
그림 1. ULTIMMA-1 및 ULTIMMA-2에서 베이스라인 이후 시간에 따른 PASI의 평균 변화율
RZB = 이 약(리산키주맙)
UST = 우스테키누맙
각 시점에서 p<0.001
연령, 성별, 인종, 체중, 베이스라인 PASI 점수, 병발 건선성 관절염, 이전의 비-생물학적 전신 치료, 이전의 생물학적 치료, 및 이전의 생물학적 치료 실패에 대한 조사에서 이러한 하위군들 간에 이 약에 대한 반응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약으로 치료 받은 시험대상자들에서 16주차 및 52주차에 두피, 손톱, 손바닥 및 발바닥 부위의 건선이 개선된 것이 관찰되었다.
IMMHANCE
IMMHANCE에는 507명의 시험대상자가 무작위 배정되었다(407명은 이 약 150 mg에, 100명은 위약에 무작위 배정되었다). 시험대상자들은 0주차, 4주차, 그리고 이후 12주마다 치료를 받았다. 원래 이 약으로 치료를 받았고 28주차에 병변이 없거나(clear) 또는 거의 없는 sPGA 반응을 나타낸 시험대상자들은 12주마다 이 약 치료를 계속하는 군에 재-무작위배정되거나 치료를 중단했다.
16주차에, 이 약은 공동 일차 결과변수인 병변이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sPGA 반응(이 약 83.5% vs 위약 7.0%)과 PASI 90(이 약 73.2% vs 위약 2.0%)에 대하여 위약보다 우월했다. 이 약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 중 더 많은 사람들이 16주차에 병변이 없는 피부[sPGA 0] (이 약 46.4% vs 위약 1.0%) 또는 PASI 100 (이 약 47.2% vs 위약 1.0%)]를 나타냈다. 이 약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은 또한 위약에 비해 PASI 75 반응을 나타낼 가능성이 더 높았다(이 약 88.7% vs 위약 8.0%).
IMMHANCE 시험에서 잠복 결핵이 있었으나 시험 기간 동안 예방치료를 받지 않았던 31명의 시험대상자 중, 이 약 투여 후 평균 55주의 추적 기간 동안 활동성 결핵이 발병한 사람은 없었다.
IMMVENT
IMMVENT에는 605명의 시험대상자가 등록되었다(301명은 이 약에, 304명은 아달리무맙에 무작위 배정되었다). 이 약에 무작위 배정된 시험대상자들은 0주차, 4주차, 그리고 이후에는 12주마다 150 mg을 투여 받았다. 아달리무맙에 무작위 배정된 시험대상자들은 0주차 에 80 mg, 1주차에 40 mg, 그리고 이후 15주차까지 2주마다 40 mg을 투여 받았다. 16주차부터, 아달리무맙을 투여 받았던 시험대상자들은 반응에 근거하여 해당 치료를 계속하거나 치료를 전환했다:
• PASI 50 미만인 경우에는 이 약으로 전환했다.
• PASI가 50 이상 ~ 90미만인 경우에는 아달리무맙을 계속하거나 이 약으로 전환하는 군에 재-무작위 배정되었다.
• PASI 90인 경우에는 아달리무맙을 계속 투여 받았다.
다른 임상시험들에서와 마찬가지로 IMMVENT에서 16주차에 이 약에 대하여 비슷한 결과가 관찰되었다(표 3 및 그림 2).
표 3. IMMVENT에서 판상 건선 성인에서의 16주차 유효성 결과
|
이 약 (N=301) n(%) |
아달리무맙 (N=304) n(%) |
병변이 없는 또는 거의 없는 sPGAa |
252 (83.7) |
183 (60.2) |
PASI 75 |
273 (90.7) |
218 (71.7) |
PASI 90a |
218 (72.4) |
144 (47.4) |
PASI 100 |
120 (39.9) |
70 (23.0) |
모든 비교에서 p<0.001을 획득하였다. a공동 일차 평가변수 |
아달리무맙을 투여 받고 16주차에 PASI가 50 이상 ~ 90미만이어서 재-무작위 배정된 시험대상자들의 경우, 이 약으로 전환한 군과 아달리무맙을 계속한 군 간의 PASI 90 반응률 차이는 빠르면 재-무작위 배정 후 4주차에 관찰되었다(각각 49.1% vs 26.8%). 이 약을 28주간 투여 받은 후 PASI 90을 달성한 시험대상자의 비율은 66.0% (35/53)였던 것에 비해, 아달리무맙을 계속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에서는 21.4% (12/56)였다. 다른 반응 수준 역시 이 약 투여 후에 더 높았다: PASI 100, 병변이 없는 sPGA, 병변이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sPGA 반응 달성 비율은 이 약으로 전환한 후 39.6%, 39.6% 및 73.6%였던 것에 비해, 아달리무맙을 계속 투여 받은 경우에는 각각 7.1%, 7.1% s 및 33.9%였다.
그림 2. IMMVENT에서 재-무작위 배정 후 시간에 따른 PASI 90 달성률
ADA/ADA: 아달리무맙 군으로 무작위 배정된 이후 아달리무맙을 계속 투여한 시험대상자
ADA/RZB: 아달리무맙 군으로 무작위 배정된 이후 이 약으로 변경한 시험대상자
Week 4에서 p<0.05 및 Week 8 이후 p<0.001
휴약기 없이 아달리무맙에서 이 약으로 전환한 환자 270명에서, 안전성 프로필은 이전의 전신 요법을 받다가 휴약기를 거친 후 이 약을 시작한 환자들에서의 안전성 프로필과 비슷했다.
반응의 유지 및 지속성
ULTIMMA-1 및 ULTIMMA-2에서 이 약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을 16주차에서의 PASI 100 반응자에 대하여 통합 분석했을 때, 이 약을 계속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 중 79.8% (206/258)가 52주차에 반응이 유지되었다. 16주차에서의 PASI 90 반응자의 경우, 시험대상자 중 88.4% (398/450)가 52주차에 반응이 유지되었다.
IMMHANCE에서 28주차에 sPGA가 병변이 없음 또는 거의 없음이었던 시험대상자들에서, 이 약 치료를 계속하는 군에 재-무작위 배정된 시험대상자 중 87.4% (97/111)가 52주차에 이 반응을 유지한 것에 비해, 이 약을 중단하는 군에 재-무작위 배정된 시험대상자 중 61.3% (138/225)가 반응을 유지했다.
삶의 질/환자-보고 결과
위약, 아달리무맙 또는 우스테키누맙에 비해 이 약으로 치료 받은 시험대상자 중 유의하게 더 많은 시험대상자가 16주차에 피부과 삶의 질 지수(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 0점 또는 1점[건강-관련 삶의 질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달성했다(표 4). 건강-관련 삶의 질 개선은 52주차까지 계속되었다 (ULTIMMA-1 및 ULTIMMA-2).
표 4. ULTIMMA-1, ULTIMMA-2, 및 IMMVENT에서의 건강-관련 삶의 질
|
ULTIMMA-1 |
ULTIMMA-2 |
IMMVENT |
||||||
|
이 약 (N=304) n(%) |
우스테키누맙 (N=100) n(%) |
위약 (N=102) n(%) |
이 약 (N=294) n(%) |
우스테키누맙 (N=99) n(%) |
위약 (N=98) n(%) |
이 약 (N=301) n(%) |
위약 (N=304) n(%) |
|
DLQI 0또는 1 |
|||||||||
Week 16 |
200 (65.8) |
43 (43.0) |
8 (7.8) |
196 (66.7) |
46 (46.5) |
4 (4.1) |
198 (65.8) |
148 (48.7) |
|
Week 52 |
229 (75.3) |
47 (47.0) |
- |
208 (70.7) |
44 (44.4) |
- |
- |
- |
|
우스테키누맙, 아달리무맙 및 위약과 이 약의 대조에서 모두 p<0.001 이었다. |
ULTIMMA-1 및 ULTIMMA-2에서, 위약에 비해 이 약으로 치료한 경우 16주차에 건선 증상(가려움증, 통증, 발적 및 화끈거림, 건선 증상 점수[Psoriasis Symptom Score; PSS]로 측정)이 유의하게 더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우스테키누맙 및 위약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은 비율의 시험대상자가 16주차에 PSS 0점(증상이 없음)을 달성했다. 52주차까지, 이 약을 투여 받는 시험대상자 중 55.7% (333/598)가 가려움증, 통증, 발적, 또는 화끈거림을 전혀 보고하지 않았다.
병원 불안 및 우울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를 이용하여 측정했을 때 ULTIMMA-1 및 ULTIMMA-2에서 16주차에 불안 및 우울은 위약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에 비해 이 약 투여군에서 개선되었다.
IMMVENT에서 16주차에서의 업무 제약 설문(Work Limitations Questionnaire; WLQ)에서 아달리무맙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에 비해 이 약을 투여 받은 시험대상자들에서 더 큰 개선이 달성되었다.
4) 비임상 정보
비임상 자료는 안전성 약리학 평가, 시노몰구스 원숭이에 최대 50 mg/kg/week 용량(최대 인체 권장 용량[maximum recommended human dose; MRHD]에서의 임상 노출의 약 70배에 해당하는 노출을 유발함)을 투여한 생식 및 발달 독성 시험을 포함하는 반복-투여 독성 시험들에 근거할 때 인체에 대하여 특별한 위해가 없음을 입증했다.
발암성
이 약을 이용한 발암성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시노몰구스 원숭이에 최대 50 mg/kg/week 용량(MRHD에서의 임상 노출의 약 70배)을 투여한 26주 만성 독성 시험에서, 전(pre)-신생물성 또는 신생물성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돌연변이원성
이 약을 이용한 돌연변이원성 시험은 수행되지 않았다.
수태능 손상
시노몰구스 원숭이에 이 약을 최대 50 mg/kg/week 용량(MRHD에서의 임상 노출의 약 70배)으로 투여한 시험들에서 수컷이나 암컷의 수태능에 대한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유해 효과는 없었다. 26주 반복 투여 독성 시험에서, 수컷 및 암컷 시노몰구스 원숭이 모두의 생식 기관에 대한 조직 병리학은 어떠한 관련된 유해 소견도 나타내지 않았다. 성적으로 성숙한 수컷 시노몰구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26주 반복 투여 독성 시험에서, 수컷의 수태능 변수에 대하여 아무런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동물 약리학 및/또는 독성학
50 mg/kg까지의 용량을 매주 피하 투여한 26주 독성학 시험에서, MRHD에서의 임상 노출보다 약 70배 더 높은 노출에서 수컷 및 암컷 시노몰구스 원숭이에서 유해한 영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밀봉용기, 차광하여 냉장(2~8℃) 보관, 얼리지 말 것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24개월 |
재심사대상 | 재심사대상(6년) [2019-12-03 - 2025-12-02] |
RMP대상 |
RMP대상
|
포장정보 | - 2프리필드시린지/상자[(75mg/0.83mL)/1프리필드시린지] |
보험약가 |
한국애브비(주)의 주요제품 목록(38건)
벤클렉스타정50밀리그램(베네토클락스)
일반의약품
2019.03.28
벤클렉스타정10밀리그램(베네토클락스)
일반의약품
2019.03.28
벤클렉스타정100밀리그램(베네토클락스)
일반의약품
2019.03.28
휴미라프리필드시린지주20mg/0.2mL(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9.02.28
휴미라프리필드시린지주80mg/0.8mL(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9.00.28
휴미라펜주80mg/0.8mL(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9.00.28
마비렛정
일반의약품
2018.00.20
휴미라프리필드시린지주40mg/0.4mL(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7.04.28
휴미라펜주40mg/0.4mL(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7.04.28
비키라정
일반의약품
2017.01.28
엑스비라정 (다사부비르)
일반의약품
2017.01.28
시나지스주사액50밀리그램(팔리비주맙)
일반의약품
2016.05.28
시나지스주사액100밀리그램(팔리비주맙)
일반의약품
2016.05.28
듀오도파장내겔
일반의약품
2015.01.28
휴미라주40밀리그램바이알(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3.09.28
노비르정(리토나비르)
일반의약품
2011.06.06
칼레트라정100/25
일반의약품
2011.03.28
루크린데포피디에스주30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일반의약품
2010.06.28
칼레트라정
일반의약품
2009.03.04
젬플라주2마이크로그램(앰플)(파리칼시톨)
일반의약품
2008.11.25
휴미라주40밀리그램(아달리무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06.07.28
루크린데포피디에스주11.2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일반의약품
2005.12.25
루크린데포피디에스주3.7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일반의약품
2005.11.05
젬플라주(앰플)(파리칼시톨)
일반의약품
2005.11.05
시나지스주100밀리그램(팔리비주맙)
일반의약품
2004.10.08
시나지스주50밀리그램(팔리비주맙)
일반의약품
2004.10.07
루크린데포주11.2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일반의약품
2002.09.28
카이로케인주25mg(레보부피바카인염산염)
일반의약품
2001.08.28
카이로케인주50mg(레보부피바카인염산염)
일반의약품
2001.08.28
카이로케인주75mg(레보부피바카인염산염)
일반의약품
2001.08.28
젬플라주(파리칼시톨)
일반의약품
2001.08.28
세보레인흡입액(세보플루란)
일반의약품
2000.08.28
노비르연질캅셀100밀리그람(리토나비르)
일반의약품
2000.08.28
노비르액(리토나비르)
일반의약품
1997.04.28
노비르캅셀100밀리그람(리토나비르)
일반의약품
1997.04.28
루크린데포주3.7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일반의약품
1994.03.12
루크린주(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일반의약품
1994.03.12
스카이리치프리필드시린지주(리산키주맙,유전자재조합)
일반의약품
2019.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