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코프캡슐300밀리그램(테오브로민)
기본정보
성상 | 백색분말이 충진된 상부 농황색, 하부 백색의 경질캡슐제 |
---|---|
모양 | 장방형 |
업체명 | |
위탁제조업체 | 안국약품(주) |
전문/일반 | 전문의약품 |
허가일 | 2017-10-27 |
품목기준코드 | 201707622 |
표준코드 | 8800536005102, 8800536005119, 8800536005126, 8800536005133, 8800536005140 |
기타식별표시 | 식별표시 : AN020045 장축크기 : 18.99mm 단축크기 : 6.18mm 두께 : 6.44mm |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테오브로민
총량 : 1캡슐(391.0 밀리그램) 중-|성분명 : 테오브로민|분량 : 300.0|단위 : 밀리그램|규격 : BP|성분정보 : |비고 :
첨가제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크로스카르멜로오스나트륨, 캡슐, 라우릴황산나트륨, 히프로멜로오스
효능효과
하기 질환으로 인한 기침의 완화
1) 비염, 부비동염 또는 비인후염에 의한 후비루
2) 급∙만성기관지염
용법용량
성인 : 1회 1캡슐씩, 1일 2회 경구투여
사용상의주의사항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크산틴계 약물에 과민증 환자
2) 크산틴계 약물에 대한 심한 부작용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소화성 궤양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경련증상이 있는 환자
3) 심각한 급성 감염성 폐질환, 결핵
4) 간장애 환자
5) 급성 신염 환자
6) 울혈성 심부전 환자
7) 알코올 중독 환자
8) 저산소혈증 환자
9) 고혈압 환자
10) 비후성 심근병증 환자
11) 빈맥성 부정맥 환자
12) 심근경색 환자
13) 저혈압 환자
3. 이상반응
1) 국내에서 비염, 부비동염 또는 비인후염에 의한 후비루 및 만성기관지염에 의한 기침 성인환자 169명을 대상으로 한 제2상 및 제3상 임상시험에서,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약물관련 부작용은 두통(10.1%), 어지러움(5.3%), 구역(5.3%)이었다. 그 외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① 과민증 : 때때로 가려움,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② 정신신경계 : 때때로 졸음, 근육통, 불면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③ 소화기계 : 때때로 복부팽만감, 식욕부진, 변비, 설사, 구갈, 연하곤란, 속쓰림, 구토, 복통, 위통,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다.
④ 혈액계 : 때때로 고요산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⑤ 피부 : 때때로 가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⑥ 간장 : 때때로 ALT, AST 등의 상승이 나타날 수 있다.
⑦ 기타 : 때때로 부종, 안면부종, 심계항진, 인후염, 발열, 발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국내에서 급성기관지염으로 인한 기침 성인 환자 163명을 대상으로 한 제3상 임상시험에서 보고된 약물관련 이상반응은 다음과 같다.
① 정신신경계 : 어지러움(1.2%)
② 감각기계 : 졸음(0.6%), 피로(1.2%), 오한(0.6%)
③ 소화기계 : 속쓰림(0.6%), 구역(2.5%), 구토(0.6%)
④ 순환기계 : 심계항진(1.2%)
⑤ 내분비계 : 부종(얼굴, 목)(0.6%)
⑥ 간장 : ALT상승(1.2%), AST상승(1.2%)
⑦ 기타 : 두통(3.1%), 복통(1.2%).
3) 국내 시판 후 조사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4년 동안 3,3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적조사 결과, 유해사례 발현율은 인과관계와 상관없이 1.63%(55명, 81건)로 보고되었다. 주로 구역 0.30%(10명), 어지러움 0.24%(8명), 가슴쓰림 0.21%(7명), 소화불량 및 두통 0.18%(6명) 등이 나타났다.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0.98%(33명, 52건)로, 구역 0.24%(8명), 어지러움 0.18%(6명), 가슴쓰림 및 소화불량 0.15%(5명), 두통 0.12%(4명) 등이 나타났다.
중대한 유해사례로는 가슴불편함, 부종, 객혈, 인후통, 상복부불쾌감이 각 0.03%(1명)가 보고되었으며 이 약과 인과관계는 없었다. 예상하지 못한 유해사례 발현율은 0.32%(11명/3,379명, 12건)로, 귀울림 0.06%(2명), 객혈, 인후통, 호흡곤란, 상복부불쾌감, 위염, 위장관결핵, 부정맥, 가슴불편함, 쓴맛, 두드러기가 각 0.03%(1명)이 보고되었다.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은 호흡곤란, 귀울림, 부정맥이었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만 70세를 초과한 환자의 유해사례 발현율은 2.56%(16명/626명, 20건)로, 만 70세 이하 환자의 유해사례 발현율 1.42%(39명/2,753명, 61건)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임상적으로 특이한 사항은 발견되지 않았다.
4. 일반적 주의
바이러스 감염, 간․신기능 장애, 고령자, 심부전 환자 등에서는 이 약의 혈장청소율이 감소할 수 있다.
5. 상호작용
다음 약물들과는 병용투여에 대한 임상적 경험이 없으나, 동일계열 유사약제의 경우로 보아,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한다.
1) 카페인을 함유하는 음료, 음식이나 아미노필린, 테오필린, 옥스트리필린 등 다른 크산틴계 약물
2) 코카인, 암페타민, 코데인 등의 중추신경 흥분제 또는 염산이소프레날린, 염산클렌부테롤, 염산튜로부테롤, 유산테르부탈린, 염산프로카테롤 등의 교감신경흥분약(β-효능약)
3) 염산메실레틴, 노르플록사신, 인터페론, 트리암시놀론, 시메티딘, 에녹사신, 시프로플록사신, 토수플록사신, 오플록사신, 이프리플라본, 프로프라놀롤, 경구용 피임약, 피페미딘산 삼수화물, 티아벤다졸, 염산아미오다론 등과 병용투여시 이 약의 청소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4) 흡연 및 알코올 섭취, 바르비탈계, 리팜피신 등과 병용투여시 이 약의 청소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카바마제핀과 병용시 서로의 혈중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6) 크산틴계 약물의 투여로 β2-효능약, 스테로이드제, 이뇨제 및 저산소증으로 인한 혈청 칼륨치의 저하작용이 악화될 수 있다.
7) 할로탄과의 병용 투여시 약리학적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투여한다.
6.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1) 임부에 대한 임상적 사용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부인에는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2) 수유부에 대한 임상적 사용경험이 거의 없으므로, 수유부에는 치료상의 유의성이 영아에 대한 위험성을 상회하는 경우에만 투여한다.
7. 소아에 대한 투여
18세 미만의 소아, 청소년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8. 고령자에 대한 투여
70세를 초과하는 고령자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9. 과량투여시의 처치
소화기 증상(특히 구역, 구토, 복통) 및 정신신경 증상(두통, 불면, 불안, 흥분, 경련 등), 순환기증상(동빈맥, 심실성부정맥). 근골격증상(횡문근융해증) 및 대사이상(산/염기 장애)이 나타나는 경우 위 내 내용물을 비우고 심전도를 모니터하며 체액균형을 유지하도록 한다. 활성탄의 경구투여는 혈중농도를 낮추고 심한 중독의 경우 활성탄-컬럼 혈액환류를 한다. 나타나는 증상은 즉시 치료한다.
10.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곳에 보관한다.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 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한다.
의약품 적정 사용 정보 (DUR)도움말
단일/복합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 DUR유형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
---|---|---|---|---|---|
단일/복합단일 | DUR성분(성분1/성분2..[병용성분]) 테오브로민 | DUR유형 효능군중복 | 제형 | 금기 및 주의내용 | 비고 |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저장방법 |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
---|---|
사용기간 | 제조일로부터 24개월 |
재심사대상 | |
RMP대상 | |
포장정보 | 30캡슐/병, 100캡슐/병, 300캡슐/병, 30캡슐(10캡슐/PTP×3) |
보험약가 | 053600510 ( 102원-2019.03.21) |
생산실적(단위 : 천원)
년도 | 생산실적 |
---|---|
2018 | 89,057 |
안국뉴팜(주)의 주요제품 목록(50건)
안국뉴팜빌다글립틴정5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8.04
아젤스정(아젤라스틴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7.28
아세인산
일반의약품
2019.07.28
오피닉정(오플록사신)
일반의약품
2019.06.28
프리바캡슐75밀리그램(프레가발린)
일반의약품
2019.06.28
프리바캡슐150밀리그램(프레가발린)
일반의약품
2019.06.28
뉴바리드정(레바미피드)
일반의약품
2019.06.28
뉴클래토건조시럽250mg/5mL(클래리트로마이신)
일반의약품
2019.05.28
뉴클래토건조시럽125mg/5mL(클래리트로마이신)
일반의약품
2019.05.28
뉴목크라듀오시럽(아목시실린수화물-묽은클라불란산칼륨)
일반의약품
2019.05.28
뉴목크라네오시럽(아목시실린수화물·묽은클라불란산칼륨)
일반의약품
2019.05.28
코디큐발정80/1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5.28
코디큐발정160/1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5.28
타니플정(탈니플루메이트)
일반의약품
2019.05.28
잘토페닌정(잘토프로펜)
일반의약품
2019.05.30
안국뉴팜아픽사반정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4.28
안국뉴팜아픽사반정2.5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4.28
투스필캡슐(아세브로필린)
일반의약품
2019.04.28
티아논정(티아넵틴나트륨)
일반의약품
2019.04.27
티옥트민정(티옥트산)
일반의약품
2019.03.28
피스메트정15/85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3.28
테르비니정(테르비나핀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3.28
바로드정1밀리그램(엔테카비르)
일반의약품
2019.03.28
바로드정0.5밀리그램(엔테카비르)
일반의약품
2019.03.28
아시브정(아시클로버)
일반의약품
2019.03.17
라프딘정10밀리그램(라푸티딘)
일반의약품
2019.03.12
아테릴정50밀리그램(아테놀롤)
일반의약품
2019.03.11
페부트정40밀리그램(페북소스타트)
일반의약품
2019.03.09
페부트정80밀리그램(페북소스타트)
일반의약품
2019.03.09
디아세일캡슐(디아세레인)
일반의약품
2019.03.07
레보발사정2.5/16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3.02
레보발사정2.5/8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3.02
레보발사정5/160밀리그램
일반의약품
2019.03.02
시프로닌정(시프로플록사신염산염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28
하루케어캡슐(탐스로신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2.28
아이두타연질캡슐0.5밀리그램(두타스테리드)
일반의약품
2019.02.28
레보펜정150밀리그램(덱시부프로펜)
일반의약품
2019.02.28
레보디핀정2.5밀리그램(에스암로디핀베실산염이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28
레보디핀정5밀리그램(에스암로디핀베실산염이수화물)
일반의약품
2019.02.28
레스피드정(티로프라미드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2.28
로자스플러스정
일반의약품
2019.02.14
엑페리손정(에페리손염산염)
일반의약품
2019.01.28
슈메가연질캡슐(오메가-3-산에틸에스테르90)
일반의약품
2019.01.28
세푸록틴정(세푸록심악세틸)
일반의약품
2019.01.28
에어케어정5밀리그램(솔리페나신숙신산염)
일반의약품
2019.01.28
에어케어정10밀리그램(솔리페나신숙신산염)
일반의약품
2019.01.28
뉴멜락시캄캡슐7.5밀리그램(멜록시캄)
일반의약품
2019.01.28
시나츄라시럽
일반의약품
2019.01.28
텔사스정40밀리그램(텔미사르탄)
일반의약품
2019.01.24
뉴글리크린연질캡슐(콜린알포세레이트)
일반의약품
2019.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