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나백정250밀리그람

기본정보

의약품정보 - 성상, 모양, 업체명, 전문/일반, 허가일, 품목기준코드, 표준코드, 마약류구분, 기타식별표시, 첨부문서 정보 제공
성상 이 약은 백색 내지 회백색의 필름코팅정제이다
업체명
전문/일반 전문의약품
허가일 2000-01-10
품목기준코드 200000762
취소/취하구분 취하
취소/취하일자 2017-08-07
표준코드 8806416003503, 8806416003510
첨부문서

원료약품 및 분량

유효성분 : 디리트로마이신

총량 : 1정(853.71 밀리그람) 중|성분명 : 디리트로마이신|분량 : 250.0|단위 : 밀리그램|규격 : KP|성분정보 : |비고 : 역가

첨가제 :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칠시트레이트, 메타아크릴산ㆍ아크릴산에칠코폴리머, 중질탄산마그네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글리코레이트스타치나트륨, 백색혼합색소T3166-WE, 벤질알코올, 폴리에칠렌글리콜3350,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탈크, 미결정셀룰로오스

이 약은 아래에 언급된 감수성 균주에 의한 다음과 같은 감염의 치료에 사용한다.

1) 인두염 및 편도염 : S. pyogenes(group A β- hemolytic streptococci) 페니실린은 류 마티스 열의 예방과 streptococcal 감염의 치료 및 예방에 일반적으로 선택되는 약물이 다. 이 약은 oropharynx에서 streptococci를 근절시키는데 효과적이다.

2) 급성기관기염 및 만성기관지염의 급성병세 악화 : S. pneumoniae, S.pyogenes,

streptococci (viridans group), S. aureus 및 M. catarrhalis

3) 폐렴 : S. pneumoniae, M. pneumoniae, L. Pneumophila 및 M. catarrhalis

4) 피부 및 피부조직 감염 : S. aureus, S. epidermidis 및 S. pyogenes (groupA β- hemloytic streptococci)

비록 음식에 의해 이 약의 전신적 생물학적 이용률이 증가될 수 있지만 이약은 식사와 관 계없이 경구로 투여된다.

성인: 성인 용량은 1일 1회 500mg(250mg 2정)이다. S.pyogenes (group A β- hemolytic streptococci)에 의한 감염증 치료에서 이 약의 치료용량을 적어도 10일 이상 투여해야 한다. 약물 동력학 연구에 근거하여 노인 또는 신기능부전 또는 간기능부전 환자 에서 용량을 조절할 필요가 없다.

1. 경고

알러지, 특히 약물 알러지가 있는 환자에 이 약 및 항생제를 주의하여 투여해야 한다. 과민반응에는 에피네프린과 산소, 정맥용 항히스타민제, 코티코스테로이드, 혈압증진용 아민류, 기도조절 등의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거의 모든 광범위 항생제(마크로라이드계, 반합성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에서 위막성 대장염이 보고되었으므로 항생제 사용과 관련된 설사가 발생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진단을 고려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경미한 경우에는 투약을 중단하고, 중증도 및 심각한 경우에는 적절한 처치를 실시해야 한다.

2. 다음 환자에게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 또는 다른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에 대해 과민반응을 나타낸 경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을 투여해서는 안 된다.

2) 저칼륨증이 있을 경우 마크롤라이드계 항생제의 사용은 QT-간격을 늘림으로써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투여해서는 안된다.

3. 이상반응

임상시험에서 나타난 주요 이상반응은 경미하고 일시적이었으며 약물-관련 이상반응으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는 2.4%였다.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들은 약물과 관련되어 이 약의 임상시험에서 보고되었다. 비율은 전체환자의 1%미만이었다.

소화기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된 이상반응은 위장관과 관련된 것이었다.

복통 5.6%, 설사 5.0%, 오심 4.9%, 구토 1.5%, 소화불량 1.3%, 고창 1.2%, 식욕결핍, 구갈

신체 무력증

과민증 피부 발적, 담마진, 소양증

중추신경계 두통 4.5%, 졸음 1.2%, 불면과 경면

혈액 및 임파계 일시적 혈소판 감소증, 백혈구 감소증, 호산구 증다증

간 일시적인 SGPT, SGOT 및 포스파타제의상승

신장 BUN 또는 creatinine의 일시적 상승

심혈관계 혈관 확장

생식 및 비뇨기계 질염, 질모닐리아증

다음의 실험실 검사 결과 수치의 변화가 보고되었다.

: 크레아티닌kinase 및 혈소판 수의 일시적 상승

임상시험기간 동안 나타난 발생율 0.1% 이상 1% 미만의 다음의 실험실적결과 수치의 변화와 이상반응들이 보고되었다. :

- 증가 : Albumin, chloride, hematocrit, hemoglobin, lymphocytes, phosphorus, platelet count, serum alkaline phosphatase, serum uric acid, and total protein

- 감소 : Alkaline phosphatase, ALT, AST, basophils, calcium, creatinine, GGT, lymphocytes, hematocrit, hemoglobin, monocytes, phosphorous, total bilirubin, and uric acid.

임상시험기간 동안 나타난 발생율 1% 이상의 다음의 실험실적결과 수치의 변화와 이상반응들이 보고되었다. :

칼륨 증가, 백혈구 증가, 탄산 감소

대상포진 또는 아나필락시를 포함하는 심각한 알러지 반응 같은 알러지 반응이 보고 되었다. 드물게, 담즙성 간염도 보고되었다.

4. 일반적 주의

내성균 발현 가능성을 명심하여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만약 치료하는 동안 2차 감염이 발생하면 적절한 치료를 실시한다. 이 약은 원칙적으로 간에서 배설되므로 신기능 부전환자 또는 경미한 간기능 부전 환자에서 용량 조절 없이 투여할 수도 있다. 중증 간 손상 환자에는 용량을 감량하거나 투여 간격을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약물 상호 작용

마크롤라이드계 항생제 또는 CYP450에 의한 그 대사물은 터페나딘 혹은 아스테미졸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터페나딘 및 아스테미졸 농도의 증가는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병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임상적으로 테오필린과 이 약을 같이 투여 받는 대부분의 환자들은 테오필린 양을 조절하거나 혈장 농도를 모니터하지 않아도 된다. 테오필린 혈장농도를 조절해야 하는 심각한 폐질환 환자 또는 고용량의 테오필린을 투여받는 환자는 적절히 용량을 조절하여 모니터해야 한다.

안티피렌과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제산제 또는 H2-수용체 길항제 투여 직후 이 약을 투여했을 때 이 약의 흡수가 약간 증가한다.

에리스로마이신, 와파린, 디곡신, 에르고타민, 트리아졸람, 사이클로스포린, 터페나딘, 헥소바르비탈, 카바마제핀, 알펜타닐, 디소피라마이드 및 노바스타틴의 병용투여에서 약물 상호작용이 보고되었다.

이런 약물들과 이 약의 병용투여에 관한 자료는 한정되므로 병용 투여하는 동안 주의해야 한다.

6. 발암성, 변이원성, 수태능력에 대한 영향

비록 발암성 시험을 실시하지 않았지만, in vivo와 in vitro 세균 변이원성 시험을 포함한 생식독성시험에서 이 약은 변이원성 잠재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랫드에서 사람 최대 용량의 100배까지 요량을 증가시켜도 이 약은 수태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7. 임부, 수유부, 유아, 소아에 대한 투여

임부에의 사용 : 랫드, 토끼에 생식시험과 기형성 시험을 실시해본 결과, 이약에 의한 불임 또는 태아의 손상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임신한 여성에 대한 충분하고도 잘 대조된 연구 결과는 없다. 동물 생식 시험이 항상 사람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을 예측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은 아니므로 확실히 필요한 경우에만 임신기간에 사용해야 한다.

분만시의 사용 : 분만기 동안의 이 약의 사용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확실히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수유부에서의 사용 : 이약이 모유로 분비되는 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많은 약물들이 보유로 분비되므로, 이 약을 수유부에게 투여시는 주의해야 한다.

소아에서의 사용 : 유아 및 12세 이하의 어린이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8. 과량 투여시의 처치

증상 및 증후 : 이 약의 과량 사용에 따른 독성 증후들은 오심, 구토, 상복부 불쾌감, 설사 등이다. 다른 증후들이 나타난다면 아마 기존 질환에 대한 이차적인 반응이거나 알러지 반응, 다른 중독효과일 것이다.

치료 : 과량 복용상태를 처리할 때는 다수 약물은 과량으로 사용하였거나, 약물간의 상호작용, 그리고 비정상적 약물동력학이 환자에게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환자의 기도를 보호해주고 공기가 통할 수 있고 관류가 가능하도록 해 주어야 한다.

매우 조심스럽게 모니터하고 수용가능한 한계내에서 환자의 생명과 관련된 신체적 증상들, 혈액가스, 혈청전해질 등을 유지시켜야 한다. 위장관에서의 흡수를 활성탄 투여로 감소시킬 수가 있는데 많은 경우에 구토나 위세척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 위를 비우는 것 대신 또는 추가로 활성탄을 고려해야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 활성탄을 반복하면 흡수된 약물의 일부를 제거하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위를 비우거나 활성탄을 사용할 때는 환자의 기도가 막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뇨강화, 복강투석, 혈액투석 또는 혈액관류 등이 이 약의 과용시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혈액투석은 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장으로부터 이 약을 제거하는 속도가 빠르게 해 주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9. 보관 및 취급상의 주의사항

1)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할 것.

2) 다른 용기에 바꾸어 넣는 것은 사고원인이 되거나 품질 유지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를 주의할 것.

재심사, RMP, 보험, 기타정보

재심사 /RMP / 보험 / 기타 - 저장방법, 사용기간, 재심사대상 및 기간, RMP대상 및 기간, 포장 정보, 보험 코드, 보험 약가, 보험 적용일
저장방법 실온보관, 기밀용기
사용기간 제조일로부터 24 개월
재심사대상
RMP대상
포장정보 자사포장단위
보험약가

변경이력 -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 변경일자 변경항목
순번1 변경일자2004-04-07 변경항목사용상주의사항변경(부작용포함)